프린터 이메일 전송

열사병, 열탈진.. 물만 잘 마셔도 이긴다

고은희 기자 2025-07-02 11:04:15

본문 이미지
▲경북 고령군 다산면. 한 농민이 고추 수확 중 물을 마시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연일 계속되는 찜통더위 속에 온열질환 환자가 속출하면서, 여름철 수분 섭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갈증을 느끼기 전에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셔야 한다"며 올바른 수분 섭취 습관이 생명을 좌우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1일 질병관리청과 의료계에 따르면, 폭염 시 발생하는 대표적인 온열질환으로는 열탈진과 열사병이 있다. 열탈진은 땀을 과다하게 흘리며 체내 수분과 염분이 고갈돼 생기는 증상으로, 무력감, 어지러움, 근육경련 등이 동반된다. 이 경우 즉시 시원한 곳에서 안정을 취하고, 생수나 이온 음료 등을 통해 수분을 보충해야 한다.

반면,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오르면서도 땀이 나지 않고 피부가 건조하게 뜨거워진다면 열사병을 의심해야 한다. 열사병은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위급한 상태로, 이때는 절대 억지로 물을 먹이려 해선 안 되며, 즉시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갈증 없어도 정기적인 수분 보충 필요
전문가들은 폭염 시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30분~1시간 간격으로 한 컵(200ml) 정도씩 물을 마시는 습관을 들일 것을 권장한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야외 근로자들은 스스로 갈증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변인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피해야 할 음료도 있다
여름철 갈증 해소를 위해 많은 이들이 찾는 맥주, 아이스 커피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이들 음료는 이뇨 작용을 유발하거나 체온을 일시적으로 올려 탈수를 악화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 시에는 무카페인 생수나 전해질이 포함된 이온 음료가 가장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외출 자제와 온도 관리도 필수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정오부터 오후 5시 사이 외출을 삼가고, 실내 온도를 26~28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므로,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적절히 사용해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문가는 "열사병은 뇌의 체온조절 중추 기능이 마비되며 나타나는 응급 질환으로, 조치가 늦으면 생명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며 "폭염 시 체온 상승을 예방하는 모든 생활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폭염은 단순히 불쾌지수의 문제가 아닌, 생명과 직결된 위험 요소다. 올여름, 정기적인 수분 섭취와 생활 속 예방 수칙 실천으로 건강한 여름나기를 준비해야 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19일

역사 속 오늘, 8월 19일

1991년 8월 19일, 소련은 정치적 대전환의 중심에 서 있었다. 공산당 내 보수 강경파들은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개혁 정책과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
역사 속 오늘, 8월 18일

역사 속 오늘, 8월 18일

판문점 도끼만행, 남북 긴장의 정점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발생한 도끼만행사건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극단적으로 끌어올린
역사 속 오늘, 8월 17일

역사 속 오늘, 8월 17일

🇮🇩 인도네시아, 식민 지배에서 벗어난 날 1945년 8월 17일,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인도네시아는 역사적인 독립을 선언했다. 자카르타에서 민족주
역사 속 오늘, 8월 16일

역사 속 오늘, 8월 16일

🎸 엘비스 프레슬리, 로큰롤의 왕이 떠나다 1977년 8월 16일, ‘로큰롤의 제왕’ 엘비스 프레슬리가 42세의 나이로 미국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
역사 속 오늘, 8월 15일

역사 속 오늘, 8월 15일

광복, 35년 식민지배의 끝 8월 15일은 한민족에게 있어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난 해방의 날이자, 광복의 기쁨이 온 땅에 울려 퍼진 역사적 순간이다. 1945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1945년 8월 14일, 일본이 연합국에 포츠담 선언 수락을 통보하며 무조건 항복을 선언, 제2차 세계대전 종식을 알렸다. 이는 한반도 일제 강점기 종료 하루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1961년 8월 13일, 동독은 주민들의 서독 탈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 건설을 시작했다. 철조망과 콘크리트 장벽이 도시를 양분하며 가족과 이웃이 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