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한미 정상회담 25일 확정…이재명, 24~26일 방미 ‘첫 대면’

관세 후속·제조업 협력…반도체·배터리·조선 논의
‘미래형 포괄적 동맹’…연합방위·비핵화 공조 점검
경제안보 강화…첨단기술·핵심광물 파트너십 확대
공동성명은 미정…결과 발표 방식 한미 협의 중
송성용 기자 2025-08-12 11:09:47

본문 이미지
▲<25일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 양국 대통령 /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12일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첫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4~26일 공식 실무 방문(Official Working Visit) 형식으로 방미하며, 회담과 업무 오찬은 백악관에서 진행된다. 김혜경 여사가 동행하며
취임 82일 만의 첫 한미 정상 대면이다.

이번 회담에서 두 정상은 변화하는 안보·경제 환경에 대응해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는 방안, 굳건한 연합방위태세 강화, 한반도 평화 구축과 비핵화 공조를 논의한다. 지난달 타결된 관세 협상 후속으로 반도체·배터리·조선 등 제조업 협력과 첨단기술·핵심광물 등 경제안보 파트너십 강화도 테이블에 오른다.

공동성명 발표 여부는 미측과 협의 중이다. 한편 “양국 정부가 공동성명을 목표로 막판 의제를 조율 중”이라는 설명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한국의 투자 액수는 이 대통령이 백악관으로 올 때 발표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방미가 의전보다 실질 협의에 초점을 둔 ‘공식 실무 방문’이라고 설명했다. 방미 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회담, 재계 총수 동행 여부는 미정이다. 외교·안보 현안과 관련해 일각에서 거론되는 ‘동맹 현대화’(국방비 증액, 주한미군 역할·전력의 전략적 유연성, 방위비 분담금 등)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미측의 공식 요청은 아직 없다”는 입장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하트 모양을 품은 씨앗, 풍선초

하트 모양을 품은 씨앗, 풍선초

우리 주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뜻밖의 지혜를 전해주는 존재들이 있다. 풍선초가 바로 그러하다. 작고 연약해 보이는 이 식물은 얇고 투명한 막으로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1945년 8월 14일, 일본이 연합국에 포츠담 선언 수락을 통보하며 무조건 항복을 선언, 제2차 세계대전 종식을 알렸다. 이는 한반도 일제 강점기 종료 하루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1961년 8월 13일, 동독은 주민들의 서독 탈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 건설을 시작했다. 철조망과 콘크리트 장벽이 도시를 양분하며 가족과 이웃이 단절
역사 속 오늘, 8월 12일

역사 속 오늘, 8월 12일

1985년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로 520명이 사망하며 항공 역사상 단일기 최악의 참사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항공 안전 규정과 정비·비상 대응 체
역사 속 오늘, 8월 11일

역사 속 오늘, 8월 11일

1919년 독일 바이마르공화국 헌법 제정 1957년 한국 첫 TV 광고(럭키치약) 방영 1992년 우리별 1호 발사 1995년 국민학교 명칭 폐지 1999년 20세기 마지막 개기
역사  속 오늘, 8월 10일

역사 속 오늘, 8월 10일

1903년 8월 10일, 파리 몽마르트르 역 인근에서 전기 이상으로 멈춘 열차에서 불이 나 터널 전체로 번지며 최소 84명이 사망했다. 비상구와 경보 장치조차
역사 속 오늘, 8월 9일

역사 속 오늘, 8월 9일

▶ 미국, 일본 나가사키에 두 번째 원자폭탄 투하 (1945년) 1945년 8월 9일, 미국은 일본 나가사키에 두 번째 원자폭탄 ‘팻맨’을 투하해 막대한 민
역사 속 오늘, 8월 8일

역사 속 오늘, 8월 8일

1. 1945년 — 소련의 대일 참전 선언 1945년 8월 8일,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여 만주 작전을 개시했습니다. 히로시마 원폭에 이은 결정적 압박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