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서울 24평 아파트 10억 시대…강남은 20억 돌파

전용 59㎡ 평균 매매가 첫 10억 돌파
강남·서초 20억대, 외곽은 상승 정체
중형 84㎡는 상승 둔화…59㎡가 새 ‘시장 표준 평형’
“실수요 중심 상승세 지속될 것”…양극화는 더 심화 전망
송성용 기자 2025-10-13 14:38:37

▲ <서울 24평 아파트 평균 매매가 추이 / 직방 제공>


■ 전용 59㎡ 평균 매매가 첫 10억 돌파

서울의 ‘국민 중소형’ 아파트로 불리는 전용 59㎡(약 24평)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10억 원을 넘어섰다.

1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평균 9억7266만 원 대비 약 8.0% 상승한 수치로,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10억 원을 넘겼다.

전문가들은 “금리 고착과 대출 규제 강화 속에서도 중소형 평형은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고 실수요가 꾸준히 이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 한강벨트 중심으로 상승…개포동 25억 돌파
자치구별로는 강남구(16.7%)가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이어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이 서울 평균 상승률을 견인했다.

강남구의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7억8706만 원에서 20억8570만 원으로 약 3억 원 뛰었다.
특히 개포동은 20억5302만 원에서 25억2137만 원으로 22.8% 급등해 서울 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삼성동(17억4944만 원→20억6220만 원, +17.9%), 역삼동(19억5859만 원→22억8224만 원, +16.5%) 등 주요 지역도 20억 원선을 넘어섰다.

마포구는 11억9708만 원에서 13억8788만 원으로 올랐고,
용강동은 13억9316만 원에서 17억90만 원으로 상승하며 지역 상승세를 주도했다.
송파구는 잠실동과 신천동을 중심으로 13억1720만 원에서 15억2588만 원으로 2억 원 이상 상승했다.

반면 외곽 지역은 상승세가 제한적이었다.
도봉구(5억4894만 원)는 전년 대비 1.7% 상승에 그쳤고, 중랑구(5억8722만 원)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금천구(6억913만 원)는 1.8% 하락했고, 종로구(11억3978만 원)는 5.5% 떨어졌다.
직방은 “역세권 신축이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저가 단지 거래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중형 84㎡는 상승 둔화…59㎡가 새 ‘시장 표준 평형’
한편 서울의 대표 평형인 전용 84㎡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13억8086만 원으로 전년(12억7591만 원) 대비 상승했지만,
상승률은 2024년 9.4%에서 올해 8.2%로 둔화됐다.
높은 가격과 대출 규제로 인한 자금 부담, 1~2인 가구 확대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다.

반면 59㎡는 신축 위주의 공간 효율성,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장벽, 높은 환금성 덕분에 실수요층의 선호가 이어지고 있다.
젊은 세대와 3인 가구가 선호하는 ‘가성비 평형’으로 자리 잡으면서 서울 아파트 시장의 대표 면적대가 84㎡에서 59㎡로 이동하는 흐름도 감지된다.

 
■ “실수요 중심 상승세 지속될 것”…양극화는 더 심화 전망
전문가들은 이번 10억 돌파를 단순한 가격 상승이 아닌 “서울 아파트 시장의 구조적 전환 신호”로 본다.
직방 관계자는 “59㎡와 84㎡ 모두 환금성과 선호도가 높지만, 자금 여건과 가구 구조 변화로 59㎡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실수요가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거래가 활발한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 수요도 국지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고마리 꽃이 전하는 깨달음

고마리 꽃이 전하는 깨달음

가을의 문턱, 늦더위가 한풀 꺾인 개울가에 무리 지어 핀 고마리 꽃을 보았다. 작고 보잘것없어 보이는 연분홍빛 꽃잎들은 마치 세상의 모든 소란스러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