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긴 배터리, 이설 작업 중 폭발
서버·배터리 불과 60㎝…설계부터 위험
업계 ‘결함보다 관리 문제’…안전 투자 시급
송성용 기자2025-09-29 11:22:11
▲ <국정자원 화재 합동감식 / 사진: 연합뉴스 >
■ 10년 넘긴 UPS 배터리, 이설 작업 중 폭발 지난 26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노후 UPS(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 폭발에서 시작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리튬이온 배터리는 2014년 설치돼 권장 사용연한(10년)을 이미 1년 이상 초과한 상태였다. 국정자원은 지난 6월 정기 점검에서 “이상 없음” 판정을 받았다며 관리 소홀 지적을 부인했지만, 전문가들은 “국가 핵심 인프라는 더욱 엄격한 교체 주기를 적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고는 전산실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던 도중 발생했다. 작업자가 케이블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불꽃이 튀었고, 곧바로 화재로 번졌다. 전원 차단 여부를 두고 논란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정확한 발화 원인 규명을 위해 감식에 착수했다.
■ 서버와 배터리 60㎝ 간격…설계부터 ‘위험 구조’ 전산실 구조적 한계도 피해를 키웠다. 서버와 배터리의 간격은 불과 60㎝, 서버끼리의 간격도 1.2m에 그쳤다. 소방 인력 투입이 어려웠고, 국가 주요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가 있어 다량의 물을 사용할 수도 없었다. 결국 가스 소화와 냉각 위주로 진화가 이뤄져 22시간 만에야 불길이 잡혔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 384개가 전소됐고, 서버 740대가 파손됐다.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멈추면서 국민신문고, 우정·금융 서비스 등 대국민 행정 서비스도 차질을 빚었다.
■ 업계도 긴장…“문제는 배터리 아닌 관리” 데이터센터용 UPS 배터리 시장은 인공지능(AI) 확산과 함께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사건이 배터리 자체 결함보다는 전원 차단 절차 미비 등 관리 실패에서 비롯됐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정상 작동했다면 단순 결함으로 발화할 가능성은 낮다”며 “AC·DC 전원을 모두 차단하지 않은 채 케이블을 분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사고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이 2012~2013년 공급한 구형 NCM(삼원계) 리튬이온 배터리로, 최신 제품에 탑재되는 열 확산 차단 기술이 부족했다는 점도 지적된다.
■ “안전은 비용”…주기적 교체·투자 필요 전문가들은 “휘발유 탱크가 관리에 따라 폭발 위험이 달라지듯, UPS 배터리도 철저한 관리가 생명”이라며 주기적 교체와 설계 개선을 강조했다.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서버와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해 관리해야 한다”며 “설치부터 운영·점검까지 일관된 안전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