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4200선을 돌파하며 ‘역대급 불장(강세장)’이라는 말이 쏟아지고 있지만, 실제 개인 투자자 절반 이상은 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손실액은 1인당 931만 원, 특히 50대 이상 중년 투자자들의 손실 비율이 가장 높았다.
54.6% 손실, 총 12조 원 증발 NH투자증권이 국내 주식 잔고를 보유한 고객 240만1502명의 계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30일 기준 손실을 본 투자자는 131만2296명(54.6%)이었다. 이들의 총 손실액은 12조2154억 원, 1인당 평균 손실은 931만 원으로 집계됐다.
손실 규모별로는 10만~100만 원 손실이 26.6%(34만9084명)로 가장 많았고, 10만 원 미만이 23.7%(31만1107명), 300만~1000만 원 구간이 16.2%(21만2944명)였다. 1000만~3000만 원 손실 투자자도 10.6%(13만9249명)에 달했으며, 5000만 원 이상 손실을 본 투자자만 5만3405명(4.1%)이었다.
50대 10명 중 6명 손실…60대는 평균 1369만 원 잃어 연령대별로는 40·50대 중년층의 투자 성적이 가장 저조했다. 50대의 60.1%(34만7285명), 40대의 59.7%(32만158명)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미성년자는 33.9%, 20대는 44.3%로 손실률이 낮았다.
평균 손실금액은 60대 이상 1369만 원, 50대 1257만 원, 40대 929만 원, 30대 479만 원, 20대 215만 원, 미성년 153만 원 순이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투자금액이 크고 손실 폭도 컸다.
손실 1위 포스코홀딩스…카카오·에코프로도 눈물 손실 계좌가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포스코홀딩스로 손실금액 비중이 2.7%였다. 카카오(2.2%), 금양(1.7%), 에코프로비엠(1.7%), 에코프로(1.3%), 셀트리온(1.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카카오 주식을 가진 투자자는 15만4021명으로 전체 손실 투자자의 8.5%에 해당했다. 카카오 주가는 2021년 16만 원대에서 현재 6만 원 수준까지 떨어져, 고점 매수 후 ‘버티기 모드’에 들어간 투자자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수익 낸 계좌는 반도체 주식 덕 수익이 난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삼성전자(41만78명)였다. 삼성전자 주가는 연초 5만3400원에서 최근 11만 원대로 두 배 이상 뛰며 수익 계좌의 수익금 비중 19.5%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도 수익 비중 9.0%, 보유 고객 9만2359명으로 뒤를 이었다.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타이거 미국 S&P500’ 보유자도 14만6718명이었다.
“FOMO 조심해야” NH투자증권 성현정 프리미어블루 도곡센터장은 “시장 활황기에 뒤늦게 진입해 평균 매입단가가 높은 투자자들이 많다”며 “SNS의 ‘억대 수익 인증’은 일부 사례일 뿐, 실제로는 손실을 본 개인이 더 많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소외 불안감(FOMO)에 휩쓸린 무리한 추격 매수는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며 “불장일수록 냉정한 분산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