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의 수익성이 20년 새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1억 원을 굴려 벌어들이는 영업이익이 2004년 420만 원에서 지난해 220만 원으로 줄며, 기업의 ‘돈 버는 힘’이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년 전보다 절반으로 줄어든 ‘기업 체력’ 대한상공회의소가 10일 발표한 「매출액 1000대 기업의 20년 수익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000대 상장기업의 총자산영업이익률은 2004년 4.2%에서 2024년 2.2%로 하락했다. 총자산영업이익률은 기업이 보유한 공장·설비·현금 등 자산으로 얼마만큼 수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 심화와 중국의 부상, 원가 부담 증가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곽관훈 중견기업학회 회장은 “수익성이 떨어지면 투자 여력이 줄고, 결국 고용과 연구개발이 위축돼 국가 성장률까지 둔화된다”며 “저수익→저투자→저성장이라는 악순환에 빠진 경고 신호”라고 진단했다.
‘한계기업 보호’가 정상기업까지 끌어내려 보고서는 ‘한계기업 보호정책’이 오히려 시장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한계기업 비중이 10%포인트 늘면 정상기업의 매출 증가율은 2.04%포인트, 수익성은 0.51%포인트씩 하락한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뜻한다. 대한상의는 “경쟁력을 상실한 기업에 정부 자금이 계속 투입되면 정상기업의 자원 배분까지 왜곡된다”고 경고했다.
“성장하는 기업에 보상해야”…규제 완화 목소리 대한상의는 수익성 악화의 해법으로 ‘계단식 규제 철폐’와 성장기업 중심의 지원 정책을 제안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수익이 줄어드는 기업을 보호하기보다 성장하는 기업을 장려해야 경제 활력이 살아난다”며 “기업이 스스로 성장을 피하는 ‘피터팬 증후군’을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또 “중소 상장사 중 수익 상위 100개 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 약 5조4000억 원의 부가가치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다”며, 이는 GDP의 약 0.24%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역시 앞서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 규제가 94개, 대기업이 되면 343개로 급증한다”며 “현상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한 구조가 되어선 안 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