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반도체 호조에도 건설 급랭
건설투자 냉각은 부동산 PF 정상화 지연, 대출 규제 강화, 현장 안전사고 영향
내년 성장률은 1.6% 전망 유지
송성용 기자2025-08-12 13:27:54
▲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 챗gpt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2일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성장률을 0.8%로 유지했다. 민생회복 쿠폰 등 2차 추가경정예산의 경기 보강 효과(약 +0.1%p)와 반도체 호조로 수출·소비 전망을 올렸지만, 건설투자 급감이 전체 성장률을 눌렀다는 판단이다. 내년(2026년) 성장률 전망도 1.6%로 종전과 동일했다.
KDI는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1.3%로 상향(5월 전망 대비 +0.2%p)했다. 금리 하락과 추경 집행이 하반기 소비를 일부 되살릴 것이란 계산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업황 개선을 반영해 1.8% 증가로 제시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부동산 PF 정상화 지연, 대출 규제 강화, 현장 안전사고 여파 등을 이유로 –8.1%로 대폭 하향(기존 –4.2% 대비 –3.9%p)했다. KDI는 “상반기 부진이 예상보다 깊었고 구조적 제약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수출은 ‘관세 회피를 위한 선제 출하’와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올해 물량 기준 +2.1%로 상향(+1.8%p)했지만, 이월 효과로 내년 증가율은 +0.6%로 낮춰 잡았다. 최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철강·알루미늄 등 일부 품목 관세 인상과 자동차 관세 인하(약 10%p)가 상쇄돼 큰 틀의 전망 변화는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자동차 관세 인하는 미측 행정명령 전까지 당분간 현행 25%가 적용된다.
대외수지는 반도체 강세를 반영해 올해 경상흑자 1,062억달러로 확대 전망했다. 물가는 국제유가·소비 상향을 반영해 올해 2.0%, 내년 1.8%로 제시했다. 취업자는 정부 일자리와 서비스업 개선을 감안해 올해 15만 명 증가로 상향했다(종전 대비 +6만 명).
KDI는 리스크로 △미국의 고율 관세 확대(특히 반도체 품목) △주요국 통상 갈등 격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 △부동산 PF 정상화 지연에 따른 건설투자 회복 차질을 꼽았다. 정규철 전망실장은 “추경과 반도체가 상방 요인이지만 건설 급랭이 상쇄했다”며 “금리 인하의 시급성은 이전보다 축소된 모습”이라고 말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