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매월 길바닥에 200만씩 뿌리는 꼴"…서울시민 7명 중 1명 왕복 통근 2시간

평균 통근 34.5분…7명 중 1명 ‘왕복 2시간’
집값 상승 여파, 교외 이주 → 장거리 통근 확산
양천·강동·강북·도봉 등 외곽에 장거리 통근 집중
길어진 출퇴근, 여가·수면·사회활동 ‘직격탄’
30대 이상 만족도 뚝…통근 길수록 삶의 질 하락
송성용 기자 2025-08-12 11:40:30

본문 이미지
▲ 붐비는 통근시간의 버스 가상이미지 / 챗gpt 생성


서울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서울 시민의 평균 통근·통학 시간은 편도 약 34.5분으로 집계됐다. 2024년 수도권 생활이동 빅데이터에서도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서울 내부 평균 출근 시간은 약 35.3분으로 비슷했다. 특히 전체 시민의 13.5%가 편도 1시간 이상 이동해, 왕복 기준 하루 2시간을 길 위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분포는  △10분 미만 0.6% △10~20분 미만 13.3% △20~30분 미만 21.3% △30~40분 미만 25.6% △40~50분 미만 18.0% △50~60분 미만 7.6% △60~70분 미만 9.0% △70~80분 미만 2.1% △80분 이상 2.4%다. 장거리 통근자는 양천·강동·강북·도봉 등 서울 외곽 거주 비중이 높았다.

통근 장시간화의 배경으로 서울연구원은 주택가격 급등에 따른 교외 거주 증가를 지목했다. 2010년 이후 수도권 도시 성장과 집값 상승으로 경기도 및 서울 외곽으로 이주가 늘며 장거리·장시간 통근이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경제적·생활적 손실도 적지 않다. 한국교통연구원(2013)은 통근 1시간의 월간 경제적 가치를 약 94만원으로 추산했다. 하루 2시간 통근이면 월 188만원 수준의 손실이 발생한다. 출퇴근 시간이 길수록 신체활동과 여가·사회활동, 수면 시간이 줄고 소음·진동·혼잡 등 스트레스 노출이 커지며, 20대를 제외한 30대 이상에선 가정·사회생활 만족도가 뚜렷이 하락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하트 모양을 품은 씨앗, 풍선초

하트 모양을 품은 씨앗, 풍선초

우리 주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뜻밖의 지혜를 전해주는 존재들이 있다. 풍선초가 바로 그러하다. 작고 연약해 보이는 이 식물은 얇고 투명한 막으로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1945년 8월 14일, 일본이 연합국에 포츠담 선언 수락을 통보하며 무조건 항복을 선언, 제2차 세계대전 종식을 알렸다. 이는 한반도 일제 강점기 종료 하루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1961년 8월 13일, 동독은 주민들의 서독 탈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 건설을 시작했다. 철조망과 콘크리트 장벽이 도시를 양분하며 가족과 이웃이 단절
역사 속 오늘, 8월 12일

역사 속 오늘, 8월 12일

1985년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로 520명이 사망하며 항공 역사상 단일기 최악의 참사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항공 안전 규정과 정비·비상 대응 체
역사 속 오늘, 8월 11일

역사 속 오늘, 8월 11일

1919년 독일 바이마르공화국 헌법 제정 1957년 한국 첫 TV 광고(럭키치약) 방영 1992년 우리별 1호 발사 1995년 국민학교 명칭 폐지 1999년 20세기 마지막 개기
역사  속 오늘, 8월 10일

역사 속 오늘, 8월 10일

1903년 8월 10일, 파리 몽마르트르 역 인근에서 전기 이상으로 멈춘 열차에서 불이 나 터널 전체로 번지며 최소 84명이 사망했다. 비상구와 경보 장치조차
역사 속 오늘, 8월 9일

역사 속 오늘, 8월 9일

▶ 미국, 일본 나가사키에 두 번째 원자폭탄 투하 (1945년) 1945년 8월 9일, 미국은 일본 나가사키에 두 번째 원자폭탄 ‘팻맨’을 투하해 막대한 민
역사 속 오늘, 8월 8일

역사 속 오늘, 8월 8일

1. 1945년 — 소련의 대일 참전 선언 1945년 8월 8일,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여 만주 작전을 개시했습니다. 히로시마 원폭에 이은 결정적 압박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