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역사 속 오늘, 7월 4일

고은희 기자 2025-07-04 00:00:04
7월 4일은 독립과 건국, 사망과 탄생, 외교적 전환과 문화적 진보가 교차된 날이다. 한국사에선 군사력 증강과 국방 현대화에 이정표가 된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 미국 독립선언 발표, 근대 민주주의의 상징적 출발 (1776년)

1776년 7월 4일, 미국이 ‘독립선언서’를 통해 대영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공식 선언했다. 토머스 제퍼슨 등이 초안한 이 선언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난다”는 이념을 바탕으로 하며, 이후 전 세계 자유·민주주의 운동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이날은 ‘미국 독립기념일’로 매년 성대하게 기념된다.

 
▶ 필리핀, 미국으로부터 독립 (1946년)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이 미국으로부터 완전 독립을 선언하고 필리핀 제3공화국이 출범했다. 이는 스페인·미국 식민지배를 거친 후 첫 자주 정부 수립으로, 이 날은 필리핀의 ‘공화국 창립일’로 기념된다.

 
▶ 토머스 제퍼슨·존 애덤스, 같은 날 타계 (1826년)

미국 건국의 주역이자 제3·2대 대통령이었던 토머스 제퍼슨과 존 애덤스가 1776년 독립선언서 발표 50주년이 되는 날인 1826년 7월 4일 같은 날 세상을 떠났다. 이는 미국 역사에서 매우 상징적인 일화로 회자된다.

 
▶ 알베르트 1세, 몬테카를로 해양박물관 개관 (1910년)

1910년 7월 4일, 모나코의 알베르트 1세가 세계 최초의 대형 해양박물관인 몬테카를로 해양박물관을 개관했다. 이는 과학 기반 해양 보존의 상징으로, 이후 국제 해양 환경운동에 기폭제가 되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7월 3일

역사 속 오늘, 7월 3일

7월 3일은 전쟁의 향방을 바꾼 전투, 독재의 종식, 문화와 기술의 진보, 국가 체제 전환 등 역사적 분기점들이 중첩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정치
역사 속 오늘, 7월 2일

역사 속 오늘, 7월 2일

7월 2일은 권력의 피습과 교체, 사회개혁을 향한 법 제정, 국제적 갈등과 봉합의 상징적 장면이 교차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외환위기 극복을 위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월 1일은 국가의 탄생과 분할, 체제 전환, 군사 충돌의 시작과 끝, 그리고 민생과 관련한 정치적 개혁이 맞물린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대북관계와 헌법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6월 30일은 전쟁의 종식과 냉전의 균열, 권력의 교체와 민주주의의 도약, 역사적 책임과 화해를 둘러싼 장면들이 교차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중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6월 29일은 전쟁과 권력의 종식, 민주주의를 향한 분기점, 세계적 지도자의 죽음, 국가 간 협약 등이 얽힌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헌정사와 대북관계에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6월 28일은 세계사의 결정적 분수령이 된 사건들이 포진한 날이다. 전쟁의 발발, 민족 저항, 헌법 제정, 인권 투쟁 등 격동의 장면들이 이 날의 의미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6월 27일은 전쟁과 분쟁의 확산, 미디어와 기술의 발전, 여성의 참여 확대, 비극과 통제의 문제 등이 중첩된 날이다. 세계사적 충돌과 함께 한국 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