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역사 속 오늘, 7월 1일

고은희 기자 2025-07-01 16:53:01
월 1일은 국가의 탄생과 분할, 체제 전환, 군사 충돌의 시작과 끝, 그리고 민생과 관련한 정치적 개혁이 맞물린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대북관계와 헌법적 이정표에 중요한 사건이 남겨져 있다.

 
▶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 첫 실시 (1985년)

1985년 7월 1일, 남북한이 분단 이후 처음으로 이산가족 상호방문과 예술단 교환 공연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그해 9월에 서울과 평양에서 실제로 이뤄졌고, 이후 남북한 간 인도주의 교류의 물꼬를 튼 역사적 계기가 되었다.

 
▶ 제9차 개헌 시행…대통령 직선제 첫 명문화 (1987년)

1987년 7월 1일, 6·29 선언 이후 진행된 정치 일정에 따라 제9차 헌법 개정이 공포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직선제와 권력 분산, 인권 보장을 명문화해 제6공화국의 법적 출발점이 되었다.

 
▶ 홍콩, 중국 반환…영국 식민지 시대 종식 (1997년)

1997년 7월 1일, 156년간의 영국령이었던 홍콩이 공식적으로 중국에 반환되었다. '일국양제(一國兩制)' 원칙 하에 고도 자치를 보장받는 조건이었으나, 이후 중국의 통제가 강화되며 국제적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 캐나다 건국, 연방 독립국으로 출범 (1867년)

1867년 7월 1일, 캐나다가 영국령 북아메리카법(BNA법)에 따라 자치연방국으로 공식 출범했다. 이 날은 ‘캐나다 데이(Canada Day)’로 기념되며, 오늘날 캐나다 건국일로 간주된다.

본문 이미지
▲ 역사 속 오늘, 7월 1일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7월 3일

역사 속 오늘, 7월 3일

7월 3일은 전쟁의 향방을 바꾼 전투, 독재의 종식, 문화와 기술의 진보, 국가 체제 전환 등 역사적 분기점들이 중첩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정치
역사 속 오늘, 7월 2일

역사 속 오늘, 7월 2일

7월 2일은 권력의 피습과 교체, 사회개혁을 향한 법 제정, 국제적 갈등과 봉합의 상징적 장면이 교차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외환위기 극복을 위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월 1일은 국가의 탄생과 분할, 체제 전환, 군사 충돌의 시작과 끝, 그리고 민생과 관련한 정치적 개혁이 맞물린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대북관계와 헌법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6월 30일은 전쟁의 종식과 냉전의 균열, 권력의 교체와 민주주의의 도약, 역사적 책임과 화해를 둘러싼 장면들이 교차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중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6월 29일은 전쟁과 권력의 종식, 민주주의를 향한 분기점, 세계적 지도자의 죽음, 국가 간 협약 등이 얽힌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헌정사와 대북관계에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6월 28일은 세계사의 결정적 분수령이 된 사건들이 포진한 날이다. 전쟁의 발발, 민족 저항, 헌법 제정, 인권 투쟁 등 격동의 장면들이 이 날의 의미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6월 27일은 전쟁과 분쟁의 확산, 미디어와 기술의 발전, 여성의 참여 확대, 비극과 통제의 문제 등이 중첩된 날이다. 세계사적 충돌과 함께 한국 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