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역사 속 오늘, 7월 2일

고은희 기자 2025-07-01 16:57:04
7월 2일은 권력의 피습과 교체, 사회개혁을 향한 법 제정, 국제적 갈등과 봉합의 상징적 장면이 교차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외환위기 극복을 위한 대대적 구조조정이 추진된 날로 기록된다.

 
▶ 외환위기 극복 위한 구조조정 본격화,

1998년 7월 2일, 외환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에 따라 대우·삼성·현대·LG·SK 등 5대 그룹의 핵심 계열사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 작업) 절차가 발표됐다. 이는 한국 재벌 체제의 대대적 개편과 산업 구조조정의 분기점이 되었다.

 
▶ 린든 B. 존슨, 민권법 서명…흑백차별 철폐의 제도화 (1964년)

1964년 7월 2일, 미국 대통령 린든 존슨이 민권법(Civil Rights Act)에 서명했다. 이 법은 인종, 피부색, 종교, 성별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며 흑백 분리 정책을 공식 폐기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미국 내 인권 운동의 법적 기반으로 작용했다.

 
▶ 미국 제20대 대통령 제임스 가필드 피격 (1881년)

1881년 7월 2일, 미국 제20대 대통령 제임스 A. 가필드가 워싱턴 D.C. 기차역에서 괴한의 총격을 받고 중상을 입었다. 그는 두 달 후 사망했고, 이는 이후 미국 내 경호 체계 개편과 정치적 개혁 여론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문 이미지
▲역사 속 오늘, 7월 2일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7월 3일

역사 속 오늘, 7월 3일

7월 3일은 전쟁의 향방을 바꾼 전투, 독재의 종식, 문화와 기술의 진보, 국가 체제 전환 등 역사적 분기점들이 중첩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정치
역사 속 오늘, 7월 2일

역사 속 오늘, 7월 2일

7월 2일은 권력의 피습과 교체, 사회개혁을 향한 법 제정, 국제적 갈등과 봉합의 상징적 장면이 교차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외환위기 극복을 위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월 1일은 국가의 탄생과 분할, 체제 전환, 군사 충돌의 시작과 끝, 그리고 민생과 관련한 정치적 개혁이 맞물린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대북관계와 헌법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6월 30일은 전쟁의 종식과 냉전의 균열, 권력의 교체와 민주주의의 도약, 역사적 책임과 화해를 둘러싼 장면들이 교차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중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6월 29일은 전쟁과 권력의 종식, 민주주의를 향한 분기점, 세계적 지도자의 죽음, 국가 간 협약 등이 얽힌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헌정사와 대북관계에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6월 28일은 세계사의 결정적 분수령이 된 사건들이 포진한 날이다. 전쟁의 발발, 민족 저항, 헌법 제정, 인권 투쟁 등 격동의 장면들이 이 날의 의미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6월 27일은 전쟁과 분쟁의 확산, 미디어와 기술의 발전, 여성의 참여 확대, 비극과 통제의 문제 등이 중첩된 날이다. 세계사적 충돌과 함께 한국 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