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2025년 대선 정국의 변수로 떠오른 무소속 한덕수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와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이 개헌을 고리로 연대에 나선다. 양측은 6일 서울 중구에서 가진 오찬 회동 직후 개헌 추진을 위한 정치적 협력에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 고문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대한민국이 악마의 계곡을 지나 제7공화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개헌 연대를 구축하고 협력하기로 했다”며 “헌법 개정을 통해 국가 체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이어 “거대 양당 체제 하에서 민주주의와 국가 시스템의 위기가 심화하고 있는 지금, 새로운 희망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후보와 공동의 노력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 후보도 “이낙연 상임고문께서 적극적으로 개헌 논의에 함께해주시기로 해 깊이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긴밀히 협의하며 개헌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우리나라는 구조적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며 “제도적 틀과 국가 운영 방식이 바뀌지 않으면 미래 세대가 더 이상 기적을 이어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고문은 한 후보의 출마 선언문에 담긴 ‘개헌·통상·통합’이라는 키워드를 언급하며 “저와 지향하는 바가 일치했다”고 밝혔다. 특히 “3년 과도정부 운영을 통해 제7공화국을 출범시키겠다는 방침에 공감한다”며 구체적인 협력 구상도 시사했다.
정치권에선 이들이 구상 중인 개헌 방향에도 주목하고 있다. 이 고문은 “한 후보가 헌정회의 개헌안을 존중한다고 밝혔다”며 “대통령제의 골격을 유지하되, 책임총리제 도입 등 권한 분산을 포함하는 분권형 대통령제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 후보 캠프 측은 “내각제 도입은 논의된 바 없다”며 “국민 다수가 동의하지 않는 방향은 추진 대상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회동은 단순한 정치적 교류를 넘어선 상징적 의미를 띠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 후보는 “이번 대선은 헌법 개정을 통한 정상 국가로의 복귀냐, 입법 폭주를 통한 비정상 국가로의 전락이냐를 가르는 분수령”이라며 “국가 운영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대한 선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고문 역시 “최근 정치권의 혼란을 보며 깊은 위기감을 느꼈다”며 “한 후보와 함께 정상국가로의 복원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 고문은 대선 출마 여부와 관련해서는 “입장에 변화는 없다”며 출마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편 한 후보는 국민의힘과의 야권 단일화 논의와 관련해 “마지노선을 설정하는 것은 오히려 단일화 협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에 대해서는 “표면적으로는 성장을 내세우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기본소득을 염두에 둔 퍼주기식 정책”이라며 “결과적으로 국가를 잘못된 방향으로 끌고 갈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 고문도 “사법부 장악 시도 등 민주당이 일부 독재 정권에서나 볼 수 있었던 방식들을 답습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선을 앞두고 개헌을 화두로 손을 맞잡은 두 전직 총리의 연대 행보가 향후 정계 개편과 대선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