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외로움이 당뇨 부른다”…사회적 고립된 노인, 당뇨 위험 34% 높아

전 세계적으로 노인 3명 중 1명이 사회적 고립 경험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확률도 75% 높아
고은희 기자 2025-07-15 09:56:37

▲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의 노인 / 사진=연합뉴스

가족이나 친구 없이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운 노인일수록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고, 혈당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단순한 정서적 문제를 넘어, 외로움이 건강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켁 의과대학의 사미야 칸 박사 연구팀은 13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내분비학회 연례회의(ENDO 2025)에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진행된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내 60~84세 인구 3천800만 명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 3,833명을 추출해 이들의 사회적 고립 여부와 당뇨병 유병률, 혈당 관리 상태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34% 더 높았고,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확률도 75%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칸 박사는 “사회적 고립은 고령층 당뇨병의 중요한 위험 요인이지만, 지금까지는 의료 현장에서 간과되어온 경향이 있다”며 “이번 연구는 의사들이 고령 환자들을 진료할 때, 사회적 고립 상태도 주요 건강 결정 요인으로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사회적 고립과 당뇨병 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이전 연구들과 달리, 미국 전체 인구를 대표하는 국가 단위 표본을 처음으로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결과의 신뢰도와 정책적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도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전 세계적으로 노인 3명 중 1명이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으며, 외로움은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등 만성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고 경고한 바 있다.

칸 박사는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세계적 흐름 속에서, 노인의 웰빙을 위해서는 단순한 의료적 개입을 넘어 사회적 연결망의 복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가을을 맞는 쪽빛 편지, 닭의장풀

가을을 맞는 쪽빛 편지, 닭의장풀

유난히 더웠던 여름이 물러가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부는 9월의 문턱이다. 이맘때면 나의 작은 베란다에서 자라는 닭의장풀을 보며 마음의 위
역사 속 오늘, 9월 3일

역사 속 오늘, 9월 3일

9월 3일은 세계 최대 온라인 경매 플랫폼인 이베이(eBay) 가 ‘옥션웹(AuctionWeb)’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탄생한 날. 개발자 피에르 오미다이어(Pierre
역사 속 오늘, 9월 2일

역사 속 오늘, 9월 2일

1666년 – 런던 대화재 발생 푸딩 레인에서 작은 불씨로 시작된 화재는 강풍을 타고 순식간에 번져 나갔습니다. 불길은 무려 4일간 꺼지지 않고 맹위
역사 속 오늘, 9월 1일

역사 속 오늘, 9월 1일

1715년: 루이 14세 사망 → 프랑스 ‘태양왕’ 루이 14세는 1715년 9월 1일 베르사유 궁전에서 사망하였고, 약 72년간 프랑스를 통치하며 절대왕정
역사 속 오늘, 8월 31일

역사 속 오늘, 8월 31일

1997년 8월 31일, 다이애나비는 프랑스 파리 알마 터널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파파라치 추격 중 운전자의 과속·음주가 원인으로 지목됐으며,
역사 속 오늘, 8월 29일

역사 속 오늘, 8월 29일

1947 – 인도-파키스탄 분할 독립 한줄 요약: 식민지 인도가 종교 갈등 속에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갈라서며 거대 인구 이동과 참사가 벌어졌다. 핵심
역사 속 오늘, 8월 28일

역사 속 오늘, 8월 28일

1996년 8월 28일, 찰스 왕세자와 다이애나 이혼(1996) 찰스 왕세자와 다이애나가 갈등과 불륜 논란 끝에 이혼했고, 이는 영국 왕실의 권위와 대중 인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