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7~8월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폭염 속 국민 부담 낮춘다

전기요금 감면 한도 월 최대 2만 원으로 확대
지난 1일부터 취약계층에 에너지바우처 최대 70만1,300원까지 일괄 지급 중
고은희 기자 2025-07-15 09:47:43
▲폭염 대책 당정 간담회서 발언하는 진성준 정책위의장 / 사진=연합뉴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이른 무더위에 따른 국민들의 냉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 구간을 완화하기로 했다.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 지원책도 함께 강화된다.

15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당정 간담회 직후 브리핑을 통해 “7~8월 전기요금 누진 구간을 완화해 폭염에 따른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최근 예년보다 빠른 폭염이 시작되면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긴급 대응이다.

현재 한전이 적용 중인 누진제는 전기 사용량에 따라 세 단계로 나뉘어 요금이 증가하는 구조다. 이번 완화 조치에 따라 1단계 구간은 기존 0200㎾h에서 0300㎾h로 확대된다. 2단계는 301450㎾h, 3단계는 451㎾h 이상으로 조정된다. 해당 제도는 2019년부터 여름철(78월)에 한해 한시적으로 적용돼 왔으며, 이번에도 같은 방식으로 시행된다.

김 의원은 “이 같은 조치를 통해 국민들이 전력 사용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전방위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1일부터 취약계층에 에너지바우처를 최대 70만1,300원까지 일괄 지급 중이며, 전기요금 감면 한도도 월 최대 2만 원으로 확대했다. 이는 냉방 수단이 부족한 계층의 실질적인 전기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여름철 최대 전력수요는 97.8GW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전력 공급 능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수요 급증에도 차질 없는 전력 운용이 이뤄지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의원은 “국민들이 무더운 여름을 보다 쾌적하게 보낼 수 있도록 전력 수급은 물론, 요금 부담 완화와 취약계층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