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28일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첫 공식 입장을 내놓으며 남북 대화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 부부장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밝혔다. 이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됐다.
이번 담화는 ‘조한(남북)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김 부부장은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 제스처에 대해 “아무리 동족 흉내를 피우며 정의로운 일을 자처해도, 우리 국가의 대적 인식에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하며, “조한관계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은 역사의 시계 초침은 되돌릴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이재명 대통령의 집권 이후 50여 일간의 행보에 대해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대결 기도는 전임 정부와 다를 바 없다”고 평가절하했다. 특히 최근 한국 정부가 실시한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과 대북 전단 살포 금지 등의 조치에 대해서도 “스스로 자초한 문제들을 되돌린 것에 불과하며,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된다”고 일축했다.
김 부부장은 정부의 통일부 정상화 추진과 통일 관련 언급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통일부의 정상화를 시대적 과제로 내세운 것을 보면, 흡수통일이라는 망령에 여전히 사로잡혀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고 비난했다.
아울러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한 가능성이 거론되는 데 대해선 “헛된 망상”이라고 잘라 말했다.
북한이 이재명 정부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북한은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이나 취임에 대해 별다른 논평 없이 보도만 했을 뿐이었다.
이번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는 북한이 현 정부와의 대화 가능성을 일축하고, ‘남북은 동족이 아닌 적대적 국가’라는 기존 기조를 재확인한 것이어서, 앞으로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 노력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