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세제 개편 쇼크에 ‘검은 금요일’…코스피·코스닥 4개월 만에 최대 폭락

코스피 3,119선, 코스닥 800선 붕괴·환율 1,400원 돌파…외국인‧기관 동반 매도
정순한 기자 2025-08-01 18:08:12

본문 이미지
▲ 급락하는 코스피 / 연합뉴스


세제 개편안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면서 1일 국내 증시가 급락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26.03포인트(3.88%) 떨어진 3,119.41에 마감하며 4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고 코스닥도 32.45포인트(4.03%) 내린 772.79로 장을 끝내 800선을 내줬다.

전날 정부가 발표한 세제 개편안이 투자 심리를 급격히 위축시켰다. 대주주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을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강화하고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35%로 상향한 데다 증권거래세율을 0.20%로 되돌리고 법인세율을 일제히 1%포인트 올리는 내용이 포함되면서 시장 전반에 매도세가 확산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6천602억 원, 기관은 1조720억 원을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고 개인은 1조6천324억 원을 순매수했다. 같은 날 원·달러 환율은 14.4원 오른 1,401.4원에 마감해 두 달여 만에 1,400원을 넘어섰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이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3.50% 떨어지며 7만 원 선이 무너졌고 SK하이닉스도 5.67% 급락해 26만 원 선을 내줬다. 금융주와 증권주는 세제 변화 영향으로 일제히 약세를 보였으며 철강 소재와 화학 업종도 큰 폭으로 내렸다. 반면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 등 일부 방산주는 상승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26억 원, 1,410억 원을 순매도했고 개인이 2,505억 원을 사들였으나 지수 하락을 막지 못했다. 시총 상위 종목 대다수가 하락해 투자심리 위축이 두드러졌다.

시장에서는 세제 개편안의 국회 통과 과정과 원화 약세 지속 여부, 미국 인플레이션 및 금리 경로를 향후 증시 방향을 가를 주요 변수로 지목하고 있다.

정순한 기자 bluesky@egamedia.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7월 27일은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멈춘 날로, 한반도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형성된 역사적 전환점이다. 이 날은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