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한 ‧ 미, 상호관세 15 %로 극적 타결…韓 3,500억弗 美투자·LNG 1,000억弗 구매

트럼프 “2주 내 백악관서 李대통령 만나 구체적 수치 발표”…車·농산물 등 美제품 시장 전면 개방, 철강·알루미늄 고관세는 유지
최영재 기자 2025-07-31 11:43:24
본문 이미지
▲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미국이 8월 1일부로 예고했던 25 % 상호관세를 협상 시한 직전 15 %로 낮추는 데 한국과 합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 시각) SNS ‘트루스소셜’에 “한국과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협정을 체결했다”며 한국이 미국에 3 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1,000억 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2주 내 백악관에서 만날 것”이라며 구체적 투자처와 수치를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합의에 따라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15 % 관세만 부과하고, 한국은 자동차·트럭·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에 대한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기로 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X(옛 트위터)를 통해 “3,500억 달러 투자에서 발생한 수익의 90 %를 미국이 가져간다”고 밝혀 일본 · EU와 동일한 ‘투자-수익’ 구조가 적용됐음을 시사했다.

품목별로는 4월부터 25 %가 적용 중이던 자동차 관세가 15 %로 내려가 일본·EU와 동일 조건이 됐으며, 반도체·의약품은 “한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더 나쁘게 대우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철강·알루미늄·구리(50 %)는 이번 합의 대상에서 빠져 고율 관세가 그대로 유지된다.

한국 대통령실은 “자동차 관세 15 % 외에 쌀·쇠고기 등 농산물 추가 개방 요구는 수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의 불확실성이 해소돼 산업계 부담이 대폭 줄었다”고 평가했다.

관세 폭탄은 피했지만 ‘투자·시장 개방 패키지’라는 새 협상 모델이 굳어지며 국내 투자 재원 조달과 농업·에너지 업계의 구조 조정이 불가피해진 만큼,
향후 국회 비준 과정과 산업계 이해조정이 또 다른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7월 27일은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멈춘 날로, 한반도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형성된 역사적 전환점이다. 이 날은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