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82분간 '셀프변론'

고은희 기자 2025-04-15 11:20:32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월 14일 열린 첫 형사재판에서 “내란 혐의는 터무니없는 정치 선동”이라며 총 82분간 셀프변론에 나섰다. 검찰이 ‘계엄령 검토 지시’와 ‘공무원 사찰’ 등을 이유로 내란 예비·음모와 직권남용 혐의를 적용한 가운데, 윤 전 대통령은 직접 피고인석에서 강하게 반박하며 “헌법 수호를 위한 정당한 직무수행이었다”고 주장했다.

'첫 정식재판' 중앙지법 들어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 / 출처=연합뉴스


이날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 심리로 열린 공판은 윤 전 대통령의 서면진술 없이 직접 구술 변론으로 진행됐다. 법정에 선 그는 굳은 표정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국민의 생명과 자유를 지키기 위한 판단이었다”며 “이 재판은 정치적 보복이자 사법의 타락”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군에 계엄령 검토 지시? 허구이자 왜곡”

검찰은 이날 공소장에서 윤 전 대통령이 2024년 12월, 국정 혼란 국면에서 군 수뇌부에 계엄령 검토를 구체적으로 지시하고, 내각 차원에서 이를 은폐하려 했다고 밝혔다. 또한 대통령실 안보실, 기무사 등과 연계해 야당 국회의원과 고위 공무원들에 대한 정보수집 및 불법 사찰을 주도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은 “기무사의 보고는 일방적 문건이었을 뿐, 어떤 계엄도 명령하거나 검토하지 않았다”며 “군은 문민통제를 받는 조직이지, 내 개인의 사병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대통령이 법 위에 있는 게 아니라, 법이 권력을 조롱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발언 중 검찰을 향해 “헌법과 국가안보를 무시한 채, 선출된 권력의 정당성을 사법으로 탄압하려는 시도”라며 날을 세웠다. 특히 “이재명, 김동연, 김두관이 정치적 목적으로 나를 탄압하고 있다”며 실명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재판 내내 자신을 ‘헌법 수호자’라 칭하며 “나는 국군통수권자였지, 쿠데타의 수괴가 아니었다”는 말로 마무리 발언을 대신했다. 법정 안팎에서는 일부 방청객들의 박수와 야유가 동시에 터져나오기도 했다.

 다음 공판은 4월 21일 오전 10시에 진행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