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시간은 중요치 않았다” 9만 명 발길 이어진 프란치스코 교황 조문 행렬

최현서 기자 2025-04-25 17:47:57
본문 이미지
▲사진=AFP,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을 추모하려는 전 세계 신자들의 발길이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 이어지고 있다. 조문이 시작된 지 이틀 만에 9만 명이 넘는 인파가 교황의 마지막 모습을 보기 위해 성전을 찾았다고 교황청이 24일(현지시간) 밝혔다.

예상을 뛰어넘는 인파가 몰리자 교황청은 조문 첫날 조문 가능 시간을 자정에서 다음 날 새벽 5시 30분까지로 연장했다. 밤새 이어진 조문 행렬은 약 90분간 청소를 위해 잠시 중단됐고, 이후 오전 7시부터 다시 재개됐다.

조문 이틀째인 이날도 성 베드로 대성전과 광장에는 교황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하려는 조문객들로 긴 줄이 이어졌다. 늦은 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지는 고된 대기에도 이들은 묵묵히 자리를 지켰다.

멕시코에서 온 조문객 에밀리아노 페르난데즈는 “얼마나 오래 기다리든 상관없다”며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을 얼마나 존경했는지를 보여줄 기회”라고 말했다.

미국 뉴저지주에서 아내와 함께 조문에 나선 리처드 램은 3시간 30분 넘게 기다렸다며, “기다리는 시간 자체가 경건하고 숭고한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전 세계에서 온 조문객들과 함께 걷는 이 행렬이야말로 교황이 남긴 유산을 보여주는 상징 같았다”고 전했다.

교황청은 조문 첫날부터 이틀째인 이날 오후 7시까지 누적 조문객 수가 9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일반 조문은 25일 오후 7시까지 사흘간 진행될 예정이지만, 현장 상황에 따라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는 26일 오전, 성 베드로 광장 야외 제단에서 집전된다. 이후 교황의 유해는 생전 그가 마지막 안식처로 지정한 로마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으로 옮겨질 예정이다.

이날 교황청은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내 교황의 무덤이 마련된 공간을 공개했다. 대성전 벽면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이 공간은 과거 촛대 받침 등을 보관하던 장소로, 프란치스코 교황이 직접 자신의 무덤으로 선택한 곳이다. 관이 놓일 흰 대리석 받침에는 ‘프란치스쿠스(Franciscus)’라는 라틴어 이름만이 간결하게 새겨졌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7월 27일은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멈춘 날로, 한반도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형성된 역사적 전환점이다. 이 날은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