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강남3구 아파트, 서울 전체 시총 43% 차지…역대 최고치 기록

3구 시총 합계 744조 7천억원대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고은희 기자 2025-07-03 10:31:03
본문 이미지
▲ 서울 남산에서 본 시내 아파트 모습 /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아파트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며, 서울 전체 아파트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43%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6월 25일 기준 강남3구 아파트 시가총액은 총 744조7,26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 전체 아파트 시가총액 1,732조4,993억원의 43.0%에 해당하며, 2000년 1월 시총 집계가 시작된 이후 월간 기준 최고치다.

구별로 보면 강남구 시총이 312조4,80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송파구는 221조7,572억원, 서초구는 210조4,888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강남3구 아파트의 시총 비중은 지난 2023년 말까지도 40%에 미치지 못했으나, 2024년 1월 처음으로 41%를 넘어선 이후 42%→43%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는 강남3구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서울 전체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치솟은 결과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6월과 비교해 서울 전체 아파트 시총은 13.1% 오르는 데 그친 반면, 강남3구는 17.7% 상승하며 격차를 벌렸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 23일까지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은 3.13% 상승했지만, 강남구는 7.84%, 서초구 7.14%, 송파구 8.58%로 각각 두 배 이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과 신축 단지 집중 공급이 맞물리며 강남3구에 수요가 집중된 결과라고 진단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강남권에는 계속해서 대규모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고, 이들에 붙는 ‘프리미엄’이 시총 확대를 이끌고 있다”며 “해당 지역엔 뚜렷한 가격 하방 요인이나 수요 이탈 요인이 없어 시총 비중은 앞으로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부담 등에도 불구하고 서울 부동산 시장이 강남3구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지역 간 양극화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7월 3일

역사 속 오늘, 7월 3일

7월 3일은 전쟁의 향방을 바꾼 전투, 독재의 종식, 문화와 기술의 진보, 국가 체제 전환 등 역사적 분기점들이 중첩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정치
역사 속 오늘, 7월 2일

역사 속 오늘, 7월 2일

7월 2일은 권력의 피습과 교체, 사회개혁을 향한 법 제정, 국제적 갈등과 봉합의 상징적 장면이 교차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외환위기 극복을 위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역사 속 오늘, 7월 1일

월 1일은 국가의 탄생과 분할, 체제 전환, 군사 충돌의 시작과 끝, 그리고 민생과 관련한 정치적 개혁이 맞물린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대북관계와 헌법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역사 속 오늘, 6월 30일

6월 30일은 전쟁의 종식과 냉전의 균열, 권력의 교체와 민주주의의 도약, 역사적 책임과 화해를 둘러싼 장면들이 교차한 날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도 중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역사 속 오늘, 6월 29일

6월 29일은 전쟁과 권력의 종식, 민주주의를 향한 분기점, 세계적 지도자의 죽음, 국가 간 협약 등이 얽힌 날이다. 한국사에서도 헌정사와 대북관계에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역사 속 오늘, 6월 28일

6월 28일은 세계사의 결정적 분수령이 된 사건들이 포진한 날이다. 전쟁의 발발, 민족 저항, 헌법 제정, 인권 투쟁 등 격동의 장면들이 이 날의 의미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역사 속 오늘, 6월 27일

6월 27일은 전쟁과 분쟁의 확산, 미디어와 기술의 발전, 여성의 참여 확대, 비극과 통제의 문제 등이 중첩된 날이다. 세계사적 충돌과 함께 한국 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