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을 마친 뒤 법정을 나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 (출처=연합뉴스) 대선 공식 선거운동 나흘째인 15일, 국민의힘 안팎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당 지도부는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를 명확히 하려는 제도적 정비에 착수했고, 일부 공동선대위원장은 공개적으로 탈당을 권고했다. 그러나 김문수 대선 후보는 “탈당 여부는 대통령 본인의 판단”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직접 개입에는 선을 긋는 모습이다.
이정현 공동선대위원장은 이날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자진 탈당을 권고하고, 계엄 선포에 대한 책임을 표명하며 국민에게 사과하자”고 제안했다. 이어 “당의 미래와 보수 재건을 위해 오늘 중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도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이 당에 부담을 줘서는 안 된다”며 “출당이냐 자진 탈당이냐의 시비가 시작됐고, 이제는 본인의 결단만 남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당내 기류 변화는 중도층 확장을 위한 ‘윤석열 리스크’ 차단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 주 안에 ‘탄핵의 강’을 건너기 위한 조치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 방식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자진 탈당이나 제명 가능성까지 열어둔 것으로 해석된다. 전·현직 대통령의 당무 개입을 제한하는 당헌·당규 개정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김문수 후보는 같은 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후보로 나선 사람이 탈당하라 마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께서 잘 판단하실 것”이라며 전날까지의 강경한 옹호에서 다소 유연한 태도로 돌아선 모습도 감지됐다.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측에서도 자진 탈당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시민사회특별위원장으로 합류한 석동현 변호사는 “두루 잘 판단해 대처하실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이 김 후보의 뜻에 따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 이날 전국위원회 인준을 거쳐 비대위원장으로 공식 취임할 예정이며, 이후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정리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