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가 또다시 멈춰설 위기에 놓였다. '시민의 발'을 책임지는 버스 노사가 파업을 하루 앞둔 29일, 최종 임금 협상에 돌입했다.
서울시와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후 5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서 막판 조정회의를 진행한다. 협상이 끝내 결렬될 경우, 노조는 30일 오전 4시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양측은 지난 14일 지노위에 조정을 신청했지만, 임금 인상률과 통상임금 적용 범위를 둘러싼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상태다. 이날까지가 조정 시한으로, 지노위가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다.
노조는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키고, 현재 63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운전직 시급 8.2% 인상, 하계 유급휴가 신설, 고용안정협약 체결 등도 요구사항에 포함됐다. 반면, 사측은 임금체계를 개편해 통상임금 부담을 줄이자는 입장이다.
이번 교섭에는 서울시내 64개 버스업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 중 61개 업체가 단체교섭 대상이다. 전날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는 노조원 88.2%가 파업에 찬성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파업이 현실화되면 지하철 운행을 하루 173회 추가 증편하고, 출퇴근 시간대 열차 투입을 1시간 늘리기로 했다. 심야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하철 막차는 다음 날 오전 2시까지 연장 운행된다.
또한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무료 셔틀버스 500여 대를 긴급 투입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25개 자치구, 버스운송사업조합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꾸려 24시간 대응 체계를 유지하며, 서울교통공사와 각 경전철 운영사 등과 긴밀히 협력할 방침이다.
서울 시내버스는 준공영제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버스업체의 적자 등을 보전하는 대신, 공공성을 강화하고 취약 지역 노선을 유지하는 제도다.
서울 버스 노사는 지난해에도 임금 협상 결렬로 12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했지만, 11시간 만에 서울시 중재로 임금 4.48% 인상, 명절수당 65만 원 지급에 극적으로 합의하고 정상 운행에 복귀한 바 있다.
하지만 올해는 노사 간 입장 차가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노사 간 이견이 상당해, 준법투쟁 수준을 넘어 전면 운행 중단까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30일 첫차부터 서울 시내버스가 멈출지, 시민들의 출퇴근길이 무사할지는 이날 최종 협상 결과에 달려 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