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정태춘, 붓으로 쓴 노래…전시 ‘노래여, 노래여’ 개최

최현서 기자 2025-05-30 09:33:46
본문 이미지
▲정태춘 (사진=토포하우스 제공, 연합뉴스)

‘시인의 마을’로 데뷔한 뒤, 음악과 현실을 가로지르며 저항과 서정을 노래해온 가수 정태춘이 이번엔 글씨와 이미지로 예술의 새로운 언어를 펼쳐낸다. 그의 붓글 전시 ‘노래여, 노래여’가 6월 4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정태춘이 2010년대 초부터 시작한 ‘붓글’ 작업 중, 자신의 노래·가사·삶을 주제로 한 작품 100여 점을 엄선해 선보이는 자리다. 그는 자신의 붓글을 기존 서예나 캘리그래피와 구별되는 “글씨보다 글에 집중하는 작업”이라 정의한다.

본문 이미지
▲정태춘의 '붓글' (사진=토포하우스 제공, 연합뉴스)

정태춘은 2000년대 후반 노래 창작을 멈춘 뒤, 가죽공예와 사진 작업에 몰두하던 중 우연히 붓과 한시를 접했다. 그때부터 자신이 노래로 표현해온 메시지를 붓과 먹, 종이와 오브제에 담는 새로운 창작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말 대신 손으로, 음 대신 문장으로 이어간 그만의 예술적 변주다.

전시는 세 개의 전시실로 구성된다. ▲노래 가사와 사유를 담은 붓글 ▲직접 촬영한 사진 위에 쓴 '사진 붓글' ▲목공예·가죽공예 등 오브제 위의 실험적 작업까지 폭넓게 소개된다. 한지, 천, 금속 등 다양한 재료에 쓴 작품들도 함께 공개된다.

관람객이 직접 붓글을 써볼 수 있는 체험 공간도 운영되며 6월 10일에는 시인들과의 만남, 11일에는 캘리그래퍼들과의 대화 등 연계 프로그램도 예정돼 있다.

이번 전시는 정태춘과 아내 박은옥이 함께 진행 중인 ‘2025 정태춘 박은옥 문학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지난 5월 발표된 정태춘 12집 앨범 ‘집중호우 사이’를 시작으로, 오는 6월에는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콘서트 ‘나의 시, 나의 노래’가 열린다. 아울러 노래 시집과 붓글집도 출간을 앞두고 있다.

미술계는 그의 예술적 확장을 두고 ‘청각에서 시각으로’, ‘서사에서 서정으로’ 이어지는 문학적 진화라 평하고 있다.
유홍준 미술사학자는 “정태춘의 운율이 마침내 이미지로 재현된 것”이라며 “추사 김정희의 조형정신을 잇는, 거칠지만 강렬한 형식미가 담겨 있다”고 평가했고, 미술평론가 김준기는 “문학, 음악, 시각예술이 하나로 엮인 융합의 장”이라며 “시각 서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작업”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7월 27일은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멈춘 날로, 한반도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형성된 역사적 전환점이다. 이 날은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