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조사 마친 한덕수 전 국무총리 (출처=연합) 비상계엄 선포를 앞둔 대통령실 내부에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계엄 포고령 문건을 직접 확인하는 장면이 폐쇄회로TV(CCTV)에 포착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한 전 총리는 관련 문건을 본 기억이 없다고 주장해왔지만, 경찰이 확보한 영상은 이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27일 <뉴스토마토>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3일, 대통령실 2층 대접견실에서 한덕수 전 총리가 박안수 계엄사령관 명의의 포고령 문건을 전달받아 검토하는 장면이 담긴 CCTV 영상을 확보했다. 같은 영상에는 당시 국무회의 참석자들과 포고령 내용을 공유하는 장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별도 지시를 받는 정황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대통령실 대접견실에 CCTV가 설치돼 있다는 사실은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고, 대통령 경호처도 수사기관에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국수본이 독자적으로 CCTV의 존재를 확인한 뒤, 12월3일부터 4일까지 이틀치의 영상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영상 확보는 계엄 선포 당시의 핵심 인사들이 제시한 진술과 충돌한다. 한 전 총리는 지난 2월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증인 출석 당시 “계엄 문건을 본 기억이 없다”고 주장했고, 지난해 12월 국회에서도 “대통령실 도착 이후에야 계엄을 인지했고, 강하게 반대 의사를 밝혔다”고 진술한 바 있다.
그러나 경찰이 확보한 영상에는 한 전 총리가 국무회의 전 포고령 문건을 주도적으로 확인하고, 회의 참석자들과 내용을 공람하는 모습이 명확히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한 전 총리와 이상민 전 장관, 최상목 전 부총리의 기존 진술과 영상 속 장면이 상충되는 부분이 있었다”고 밝혔다.
국수본은 지난 26일, 세 사람을 같은 날 동시에 불러 조사에 나섰다. 진술 조율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수사 전략으로 풀이된다. 국수본은 이달 초 한덕수 전 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도 취했다. 앞서 이상민 전 장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역시 지난해 12월 이미 출국이 제한된 상태다.
한편, 이번에 확보된 영상은 계엄 선포 결정의 정당성 여부와 당시 대통령실 내 의사 결정 구조를 규명하는 데 핵심 물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사팀은 영상 분석을 바탕으로 한덕수 전 총리의 ‘기억 부재’ 주장이 위증 혐의로까지 번질 수 있을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