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버스환승센터에서 시민이 탑승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 협상이 막판까지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28일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2년 만의 파업을 가까스로 막아냈던 서울시가 올해도 다시 한 번 교통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27일까지 총 9차례의 본교섭과 실무 협의를 이어갔지만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날 노조는 오후 1시에 교섭을 재개하자고 제안했지만 사측은 별도의 비공개 회의를 공지해 양측이 협상 일정조차 합의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핵심 쟁점은 ‘통상임금 체계 개편’이다. 노조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은 이미 확정된 사안이며, 이는 교섭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 사측은 정기상여금이 반영될 경우 실질적으로 25%에 달하는 임금 인상 효과가 발생한다며 서울시 재정 부담을 이유로 임금체계 전반의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맞서고 있다.
서울시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조정자 역할을 자처하고 있지만 올해는 단순한 임금 인상이 아닌 임금 구조 개편이 쟁점인 만큼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실제로 노조는 통상임금과 관련해 사측과 개별 소송도 진행 중이다.
노조는 이날 밤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예고한 대로 28일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서울 시내버스는 389개 노선에서 약 7,000여 대가 운행 중으로 파업 참여율에 따라 시민들의 출퇴근길에 큰 혼란이 우려된다.
서울시는 파업이 최소 3일 이상 지속될 수 있다고 보고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한다. 지하철 운행 횟수는 하루 173회 증편하고 막차 시간도 다음날 오전 2시까지 연장한다. 25개 자치구에서는 주요 거점과 지하철역을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가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사태는 서울에 국한되지 않는다. 부산, 울산, 창원 등 일부 지역 버스 노조들도 연대 파업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산하 22개 지역 노조가 동시 파업을 예고해 전국적인 교통 대란으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서울마을버스조합도 서울시와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마을버스조합은 환승 수익 보전 문제를 두고 시에 추가 보조금 지급을 요구하고 있으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대중교통 환승체계 탈퇴까지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마을버스가 환승 체계에서 이탈할 경우 승객은 추가 요금을 전액 부담해야 해 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서울시는 현재 마을버스조합과 협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중교통 관련 적자 예산은 추경에 반영되지 않은 상태다. 시 관계자는 “보조금 증액 요구의 적정성을 따져본 뒤 논의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노사 모두 시민 눈높이에 맞는 합리적인 해법을 도출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