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대선 D-7... 굳어지는 3자 대결 구도 속 변수 주시

이한나 기자 2025-05-27 07:50:02
▲ 유세하는 대선 후보 (출처=연합)

6·3 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이재명(더불어민주당)·김문수(국민의힘)·이준석(개혁신당) 3자 구도가 굳어지는 모양새다.

승부를 가를 마지막 변수는 세 가지. 여론조사 추이, 단일화 여부, 돌발 리스크 관리다.

이재명 후보는 선두 유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김문수 후보는 ‘반이재명’ 정서를 앞세워 지지층 결집에 나섰다. 이준석 후보는 거듭 “완주”를 선언하며 단일화 압박을 일축하고 있다. 사전투표는 29일부터 이틀간 진행된다.
 
28일 마지막 여론조사 발표…“격차 좁혀지면 혼전 가능성”
여론조사 공표가 가능한 마지막 날은 28일이다. 선거일 6일 전부터는 공직선거법상 조사 결과 공표가 금지되기 때문에, 28일 발표될 결과가 유권자들이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데이터다.

최근 한국갤럽 조사(20~22일, 전국 성인 1002명 대상, ±3.1%p)에서 이재명 후보는 45%, 김문수 후보는 36%, 이준석 후보는 1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두 자릿수였던 이재명·김문수 격차는 9%p로 줄었다.

28일 발표될 여론조사에서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질 경우, 이후 ‘깜깜이 기간’ 동안 판세는 더욱 유동적으로 흐를 수 있다. 반대로 격차가 다시 벌어진다면, 이재명 후보가 사실상 승기를 잡는 흐름이 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준석 “단일화 없다” 못 박자…국민의힘, ‘사표 방지’ 총공세
변수 중 하나는 김문수·이준석 후보 간의 단일화다. 2022년 대선처럼 사전투표 직전 단일화가 성사되면 표심이 재편될 수 있지만,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평가다.

이준석 후보는 “단일화 가능성은 0”이라고 못 박았다. 개혁신당 측도 “김문수로는 이재명을 이길 수 없다”며 보수층 전략적 선택을 호소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단일화 압박과 동시에 ‘사표 방지론’을 내세우며 막판 결집을 시도 중이다.

윤재옥 국민의힘 총괄선대본부장은 “단일화가 불발되더라도 유권자들은 결국 전략적인 투표를 할 것”이라며, 자연스러운 양자 대결 구도로의 수렴을 기대했다.

민주당은 두 보수 후보의 단일화 논의를 “극우 내란 단일화”라고 비판하며 중도층 결집에 집중하고 있다. 윤여준 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은 “단일화에 응하면 이준석의 정치생명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언·네거티브·윤 전 대통령 변수…각 당 ‘리스크 관리’ 돌입
27일 예정된 마지막 TV토론과 거리 유세에서도 ‘돌발 변수’가 나올 가능성은 남아 있다. 실언, 막말, 네거티브 공방이 격화되면 표심이 출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각 캠프는 막판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민주당은 ‘비법조인 대법관 임명’, ‘대법관 100명 증원’ 법안을 자진 철회하며 사법 장악 우려 진화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부정선거 영화 관람 등으로 다시 전면에 등장한 데 대해 ‘선긋기’에 나선 모습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선을 명확히 긋지 않으면, 중도층 표심을 얻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문주란의 향기와 언어의 고결함

문주란의 향기와 언어의 고결함

바닷가 모래톱을 가로지르는 시원한 해풍 속에서 홀로 피어나는 야생 문주란의 향기는 가히 환상적입니다. 수선화과에 속하며 '청순', '고결', '순수한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