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챗GPT-4o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고령이나 질병 등으로 돌봄이 필요해질 경우, 요양보호사에게 의존하겠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5일부터 30일까지 전국 40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9%는 “요양보호사가 돌봐줄 것”이라고 답했다. “배우자”(35%), “스스로 돌봐야 한다”(21%)가 뒤를 이었고,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본인 돌봄 필요 시 돌봄 주체 조사 (출처=돌봄과 미래) 배우자에 대한 의존 기대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의 49%는 “아내가 돌봐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여성은 22%만이 “남편이 돌봐줄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58%는 향후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으며, “매우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10%였다. 이웃과의 교류는 제한적인 수준이었다. ‘자주 교류하는 이웃이 있다’는 응답은 20%였고, ‘가끔 인사만 나눈다’(39%), ‘얼굴만 아는 수준’(27%)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가족 외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비율도 40%에 달했다.
돌봄 장소로는 ‘현재 거주 중인 집’(47%)이나 ‘거주지 인근의 돌봄에 적합한 집’(32%) 등 익숙한 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요양원이나 노인복지주택을 선택한 비율은 각각 7%였다. 임종을 맞고 싶은 장소 역시 자택이 48%로 가장 많았으며, 종합병원(31%), 요양병원(12%) 순이었다.
요양시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58%였으며, ‘친구를 사귈 수 있다’는 기대가 많았다(74%). 다만 ‘학대가 빈번하다’는 우려도 53%로 집계됐다.
노인·장애인 돌봄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은 64%였고, ‘지역 내 노인돌봄 서비스가 잘 제공되고 있다’는 응답은 36%였다.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는 ‘건강관리·의료’(61%)가, 우선적으로 갖춰야 할 서비스로는 ‘가정방문 돌봄’(71%)이 꼽혔다.
돌봄 정책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자부담 경감’(42%)이, 돌봄 책임 주체로는 ‘국가’(85%)가 가장 많이 선택됐다. 세금 지출 확대에 찬성한 비율도 85%였다.
응답자의 41%는 ‘거주 지역 내 병원 이용에 불편을 겪었다’고 답했으며, 노년기 주거환경 개선 항목 중 ‘병원 접근성’(36%)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한편, 연명의료를 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93%에 달했으며, 임종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스스로 결정하겠다’(44%)와 ‘가족과 상의하겠다’(44%)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