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챗GPT-4o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비혼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20~30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인식 변화가 남성보다 더 뚜렷해지면서 가족 형태에 대한 전통적 관념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9일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의뢰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조사에 따르면 20~30대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이후 꾸준히 상승해왔다.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재구성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대 남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32.4%에서 2023년 43.1%로 증가했고 20대 여성은 같은 기간 28.4%에서 42.4%로 상승했다.
이로 인해 상승 폭은 여성(14.0%포인트)이 남성(10.7%포인트)보다 더 컸다. 30대의 경우에도 여성은 23.9%에서 40.7%로 16.8%포인트 상승, 남성은 28.7%에서 43.3%로 14.6%포인트 올랐다.
비혼 동거에 대한 인식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20대 남성의 동의율은 2008년 67.2%에서 2023년 81.1%로 상승, 여성은 55.6%에서 81.0%로 무려 25.4%포인트 증가해 남성보다 더 큰 변화를 나타냈다. 30대 역시 여성(50.1%→78.3%)이 남성(58.0%→82.2%)보다 상승 폭이 컸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현재까지는 여전히 남성이 여성보다 20대가 30대보다 비혼 출산과 동거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지만, 그 격차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인식 변화는 사회 전반의 가치관 전환뿐 아니라 향후 출산 및 가족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2년 국내 비혼 출산율은 3.9%로 같은 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41.0%에 크게 못 미쳤지만 2023년에는 4.7%로 소폭 상승했다.
정부는 비혼 출산을 저출생 해소의 하나의 대안으로 보고 제도적 지원을 검토 중이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결혼이나 시댁과 같은 사회적 부담 없이 출산과 양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여성들의 동의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합계출산율이 0.75명까지 하락한 상황에서 출산 방식만 따질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어 “상속, 세제, 공공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혼 출산 가정을 포용할 수 있도록 정책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