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1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무역 협상을 시작했다. 양국 간 무역 갈등이 격화된 이후 양측 대표가 대면 협상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중 국기 / 출처 = 연합뉴스
이번 협상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한 가운데 현 유엔 제네바 사무소 주재 스위스 대사관저에서 오전 10시부터 약 8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양측은 11일에도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상 당일 트루스소셜에 "중국과 매우 좋은 회담이 있었다"며 "많은 논의가 있었고, 많은 부분에서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어 "우호적이지만 건설적인 분위기 속에서 완전한 미중 무역관계 리셋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진전 사항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미국 언론들은 이번 회담에서 양국이 상대에게 부과한 고율 관세 인하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앞서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 역시 미국산 제품에 대해 125%의 보복 관세로 맞섰다. 이른바 '관세전쟁'으로 불리는 이 갈등은 양국 간 교역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에도 큰 영향을 미쳐왔다.
이번 회담에서 미국은 중국에 농산물 및 제조업 상품에 대한 시장 개방 확대,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 철회 등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중국은 미국이 먼저 고율 관세를 철회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에서는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중국 측에서는 왕샤오훙 공안부장 등 핵심 인사들이 참석해 협상에 무게를 실었다. 회담은 수석대표 모두발언조차 공개되지 않을 정도로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양측 모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관세율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에 대한 관세율로 80%가 적절하다"고 밝힌 바 있으나, 미국 언론은 협상에서 이를 50%대로 낮추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협상 결과에 따라 양국 간 무역 관계의 향방은 물론, 글로벌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협상 둘째 날에는 보다 구체적인 합의안 도출 여부가 주목된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