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못난 선조 뽑지 말자”… 박찬욱, 백상 수상소감으로 대선 정조준

“못된 선조 말고, 국민을 무서워할 줄 아는 사람"
최현서 기자 2025-05-06 09:55:36
본문 이미지
▲백상예술대상 화면 캡쳐

제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 ‘전,란’으로 각본상을 수상한 박찬욱 감독이 수상 소감을 통해 정치적 소신을 밝혔다. 대통령 선거를 한 달 앞둔 시점, 그의 발언은 예술과 현실의 경계를 허문 강력한 메시지로 다가왔다.

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D홀. 박 감독은 신철 작가와 공동 집필한 영화 ‘전,란’으로 영화 부문 각본상을 수상했다. ‘전,란’은 임진왜란 직후 조선을 뒤흔든 혼란기를 배경으로, 전쟁(戰)과 반란(亂)을 제목에 응축한 시대극이다.

박 감독은 무대에 올라 “이 영화는 임진왜란 이후 크고 작은 민란이 계속되던 시기를 다룬 작품이다. 요즘 정치 상황을 보며 ‘전,란’을 자주 떠올리게 된다”며, “당시도 지금도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하는 건 용감하고 현명한 국민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선 정국을 정면으로 겨냥한 발언을 내놓았다.
“이제는 그 위대한 국민에 걸맞은 리더를 선택해야 할 때가 왔다. 영화 속 차승원 씨가 연기한 못되고 못난 선조 같은 인물이 아닌, 국민을 두려워할 줄 아는 사람을 뽑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직설적으로 말했다.

이번 수상이 개인적으로도 특별하다는 점을 덧붙이며, “제가 연출하지 않은 작품으로 각본상을 받는 건 처음이다. 신철 작가와 함께 썼지만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이 무대에 설 수 있었다. 깊이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함께 무대에 오른 신철 작가 역시 묵직한 울림을 전했다. “첫 문장을 쓰고 완성하기까지 12년이 걸린 작품”이라며, “임진왜란 당시 자국민을 희생시키려 했던 왕, 그리고 그 사실을 기록으로 남긴 이름 없는 사관의 용기가 있었기에 이 영화가 존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 용기와 기록이 오늘까지 닿았고, 우리도 끝까지 용기를 잃지 않고 써 내려갈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영화 부문 각본상 후보로는 ‘승부’(김형주·윤종빈), ‘아침바다 갈매기는’(박이웅), ‘리볼버’(오승욱·주별), ‘장손’(오정민) 등이 함께 경합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7월 27일은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멈춘 날로, 한반도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형성된 역사적 전환점이다. 이 날은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