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가려움에 긁적, 콧물에 휴지 끼고, 숨이 턱 막히는 천식까지… 알레르기 질환은 하나만 걸려도 피곤한데, 이 셋을 동시에 겪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런데 이 서로 다른 질환들, 사실 몸 안에서 공통적으로 ‘이 물질’이 부족해서 생긴 걸 수도 있다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이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주요 알레르기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감소된 마이크로RNA 'miR-4497'을 발견했다. 이는 알레르기 염증을 유발하는 체내 반응을 제어하는 유전자 조절 물질로, 앞으로 새로운 알레르기 진단법이나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알레르기 앓는 아이들의 혈액에서 ‘공통 신호’ 발견 이번 연구는 고대안암병원에서 아토피(42명), 비염(13명), 천식(13명)을 앓고 있는 소아 환자 68명과 건강한 대조군 10명의 혈청 샘플을 비교 분석하면서 시작됐다. 그 결과, 세 질환 모두에서 'miR-4497'이라는 마이크로RNA가 유독 감소돼 있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관찰됐다. 마이크로RNA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생체 내 분자 스위치’ 같은 존재다. 이 스위치가 꺼지면, 면역 체계의 과잉 반응, 즉 알레르기 증상이 더 쉽게 폭주할 수 있다는 것.
쥐에게 miR-4497을 주입해보니… 연구팀은 이어 알레르기 유발 실험쥐 모델에 miR-4497을 직접 주입했다. 그 결과, 알레르기 염증을 일으키는 대표 물질인 인터류킨-4(IL-4)와 마크로파지 유래 케모카인(MDC) 수치가 눈에 띄게 줄었다. 뿐만 아니라 천식 환자에게 중요한 ‘기관지 저항성’도 완화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miR-4497이 알레르기 면역 반응의 핵심 통로인 ‘Th2 면역반응’을 억제한다는 점이다. 이 반응은 알레르기 체질의 근본이 되는 면역 폭주 신호다. 즉, 이 작은 RNA 하나가 알레르기 스위치를 ‘OFF’로 돌릴 수 있는 키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혈액으로 진단도 가능”…바이오마커 가능성 UP 유영 고려대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miR-4497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바이오마커”라며, “아토피, 비염, 천식의 공통 분자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물질은 혈청(혈액)으로 쉽게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는 혈액검사만으로 알레르기 진단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다음 목표는? “사람마다 다른 체질도 커버하는 치료로” 연구팀은 “연령, 인종, 질환의 중증도 등 다양한 조건에 맞춘 후속 연구를 통해 이 물질을 실제 진단·치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결과는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Archives of Allergy and Immun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