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8일 저녁 서울 상암동 MBC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첫 TV토론에서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세 후보는 용산 대통령실, 증세·감세 전략, 개헌 방향 등을 놓고 뚜렷한 견해차를 드러내며 날 선 설전을 벌였다.
▲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첫 TV 토론회 / 출처=연합뉴스
■ 대통령실 ‘용산 잔류 vs 재이전’ 가장 뜨거웠던 쟁점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였다. 김경수 후보는 “용산 대통령실은 도저히 대통령실로 쓸 수 없는 곳”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결정을 강하게 비판하고, 즉각적 이전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보안 문제를 고려하면 일단 용산을 쓰되, 청와대를 빠르게 보수해 돌아가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현실론을 폈다. 반면 김동연 후보는 “대통령 취임 다음 날부터 세종에서 근무할 수 있다”며 아예 수도 분산형 근무 구상을 제시, 두 후보와 완전히 다른 접근을 취했다.
■ 증세 문제 놓고 ‘역공’ 조세정책을 놓고도 셋은 확연히 달랐다. 이재명 후보는 “경제가 어려운데 세금을 더 걷겠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며 ‘민간 전가 없는 긴축’을 주장했다. 이에 김경수 후보는 “지출 조정만으론 한계가 있다”며 “기득권 감세 폐지를 포함한 구조적 세입개편이 필요하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김동연 후보도 “감세 포퓰리즘은 위험하다”며, ‘감세 축소 + 세출 구조조정’의 균형 전략을 강조했다. 증세를 두고 ‘이재명의 신중론’, ‘김경수의 적극론’, ‘김동연의 조정론’이 충돌한 순간이었다.
■ 개헌? 계엄 조항 삭제? 사면 금지? 개헌 필요성을 주장하는 두 후보에 이재명 후보는 "분권형 개헌이 필요하다"면서도 "국민투표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당장 개헌할 수 없다"고 밝혔다.
비상계엄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이재명 후보와 김동연 후보는 '내란을 일으킨 사람에 대해서는 사면을 금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사면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김경수 후보는 “계엄 조항 중 평시 계엄 허용 규정을 삭제해야 한다”며 강한 개헌 드라이브를 시사했다.
■ 첫 TV토론, 각자의 ‘길’ 보였다 이번 토론은 각 후보의 정치적 지향과 리더십 스타일이 분명히 드러난 자리였다. 이재명 후보는 현실적 대안과 조율형 리더십을 내세웠고, 김경수 후보는 개혁 드라이브와 진보적 개헌론으로 승부수를 던졌다. 김동연 후보는 ‘정책 기술자’다운 정공법으로, 두 진영의 허점을 찌르며 실용주의를 강조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