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금값이 진짜 금값”...관세 전쟁 속 사상 최고가 경신

최현서 기자 2025-04-17 12:51:50
본문 이미지
[AI DALL-E3가 생성한 이미지]

미국과 중국 간 고조되는 관세 전쟁의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을 뒤흔들며, 대표적 안전자산인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달러 약세 흐름까지 겹치며 금 현물과 선물 모두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發 무역 불안에 안전자산 쏠림…금값 ‘사상 최고’
16일(현지시간) 오후 2시 45분 기준, 뉴욕 금 현물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3.61% 오른 온스당 3,338.43달러를 기록했다. 장중 한때 3,350달러 선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가를 새로 썼다.

같은 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된 6월 인도분 금 선물도 온스당 3,355.10달러에 마감돼, 현물가 상승 흐름을 이어받았다.

 관세 충돌에 달러 약세까지…금값 상승 ‘트리거’
금값 급등의 배경에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과 중국의 맞대응 기조, 그리고 이로 인한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안전자산 수요가 겹치며 금으로의 자금 쏠림 현상이 뚜렷해졌다.

또 다른 핵심 요인은 달러 약세다. 달러화로 가격이 표시되는 금은 달러 가치가 하락할수록 상대적으로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16일 ICE(인터콘티넨털 익스체인지) 미국 달러 인덱스는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전장보다 0.82% 하락한 99.40선을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달러 대신 금 같은 실물자산을 선호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전문가 “무역 갈등 이어지면 금값 추가 상승 가능성”
국제 금융 시장 전문가들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중 무역전쟁이 지속된다면, 금값은 단기 조정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 상승 여지가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관세가 물가와 성장에 동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며 당장의 기준금리 인하보다는 ‘관망’ 입장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금리보다 먼저 움직이는 안전자산 흐름도 주요 변수로 부각될 전망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세계 최초의 테마파크인 '산타클로스 랜드'가 개장한 날로, 놀이문화의 새 지평을 연 상징적 순간이다. 또한 미국·영국·소련이 전략무기 제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