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145일간의 수감 생활을 마치고 보석으로 풀려난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남기며 정치권을 향한 폭로를 암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비롯한 여권 핵심 인사들과의 연결고리에 관심이 쏠린다.
▲사진=명태균 페이스북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가 최근 보석으로 석방된 명태균 씨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대선 정국을 향한 파장을 예고했다. 그는 지난 13일 게시한 글에서 “콜로세움 경기장 철창에 145일 갇혀 있던 굶주린 사자가 경기장 한복판에 나와 서 있다”며 자신을 "먹잇감을 앞에 둔 맹수"에 비유했다.
이어 “어떤 먹잇감을 먼저 물어야 군중이 열광할까. 그 누구도 나에게 거짓을 강요하지 말라”고 덧붙이며, 향후 정치권 인사들을 겨냥한 폭로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명 씨는 과거 경남 창원을 중심으로 여론조사 업체를 운영하며 정치권과 활발히 교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과 배우자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설, 미래한국연구소를 통한 여론조사 결과 전달 의혹 등이 불거진 바 있다.
검찰은 명 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했던 미래한국연구소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무상 제공했는지, 또 당내 경선 과정에서 해당 데이터를 활용해 공천 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수사 중이다. 이와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유력 정치인의 연루 의혹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오 시장은 지난 대선 전 대선 캠프 사무실까지 마련했다가 돌연 불출마를 선언했고, 그 배경에 명 씨와의 금전 거래 및 여론조사 제공 의혹이 얽혀 있다는 시각이 있다. 검찰은 앞서 오 시장의 집무실과 공관을 압수수색하고, 관련 인물들을 소환 조사했다. 명 씨는 오 시장에게 여론조사를 제공하고, 비용을 제3자가 대납하게 했다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도 수사받고 있다.
홍 전 시장 역시 총선 직전 미래한국연구소에 여론조사를 의뢰하고 약 5600만 원을 지불한 내역이 검찰에 확보된 상태다.
이처럼 명 씨의 혐의는 창원 의창구 공천을 둘러싼 뒷돈 수수(8천70만 원) 의혹뿐 아니라, 지방선거 공천 관련 금품 수수(약 2억4천만 원) 등으로 확장돼 있으며, 지난해 11월 구속 이후 145일 만인 이달 9일 보석으로 석방됐다. 법원은 보석 조건으로 보증금 5천만 원, 주거지 제한, 법원 출석 의무, 증거인멸 금지 등을 명령한 바 있다.
보석 직후 검찰은 10일과 11일 이틀에 걸쳐 창원지검에서 명 씨를 소환조사했으며, 향후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역시 조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명 씨는 지난 11일 검찰 조사를 마친 뒤 윤 전 대통령의 파면 논란 관련 질문에 “제가 어떤 얘기를 하는 건 도리가 아니다. 예전에는 자기가 모시던 임금이 무슨 일이 생기면 삿갓을 쓰고 다녔다”며 말을 아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사자의 입이 열리면 정국이 출렁일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명 씨가 향후 어떤 실명을 꺼내들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