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2주 이용비가 제 한달 월급이랑 맞먹어요… 눈 딱 감고 다녀오긴 했지만, 진짜 후덜덜했죠.”
▲일러스트=챗GPT-4o 지난 달 첫 아이를 출산한 직장인 이모 씨(서울시 강서구. 35세). 맞벌이를 하는 이 씨는 오랜 고민 끝에 출산을 결심했다. 하지만 산후조리원을 나오는 날 “출산의 두려움보다 조리원 비용 때문에 더 숨 막혔다”고 말했다.
출산을 마친 산모에게 가장 필요한 건 휴식과 회복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보건복지부가 2025년 2월 발표한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 비용은 2주 기준 286만 원으로, 3년 전보다 43만 원 넘게 상승했다. 재가 산후조리(산모 도우미 등) 비용도 2024년 기준 125만 5,000원으로 크게 늘었다.
민간 조리원이 부담스러운 건 물론이고, 지방이나 농촌 지역에는 시설 자체가 부족해 출산 직후 곧바로 집으로 복귀하는 산모들도 적지 않다. 이처럼 산후조리마저 ‘운’과 ‘경제력’에 따라 갈리는 현실 속에서, 조용히 주목받고 있는 대안이 있다. 바로 공공산후조리원이다.
공공산후조리원, 뭐 하는 곳이에요? 공공산후조리원은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산후조리 전문시설이다. 민간 조리원보다 비용 부담이 낮고, 의료 인력과 신생아 돌봄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산모와 아기 모두 안심하고 머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이용 대상은 지역 주민, 다자녀 가정, 저소득층 등을 중심으로 지자체별 기준에 따라 운영되며, 일반 시민도 신청 가능한 경우가 많다.
얼마나 저렴할까? 지역과 운영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주 기준 약 100만 원 안팎의 비용으로 이용 가능한 곳이 많다. 민간 산후조리원에 비해 절반 이하 수준이며, 식사·산모 건강관리·신생아 돌봄 서비스까지 모두 포함된 가격이다.
서울시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 내 민간 산후조리원 2주 이용 요금은 일반실 기준 평균 478만 원, 공공 산후조리원은 평균 230만 원으로, 두 배 이상의 비용 차이를 보였다. 비용 대비 만족도가 높아, 지역 내 신청 경쟁이 치열한 곳도 적지 않다.
어디에 있나요? 2024년 기준 전국적으로 20여 곳의 공공산후조리원이 운영 중이다.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을 비롯해, 강원 인제, 전남 해남, 경북 영주 등 농촌·지방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이용을 희망할 경우, 해당 지역 보건소나 시·군청 홈페이지에서 ‘공공산후조리원’을 검색하면 신청 자격, 절차, 이용 요금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전국 지자체 공공산후조리원 현황 (출처:보건복지부) 최근 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2주에 단 25만 원이라는 가격에 민간과 거의 같은 서비스를 받았다”며 “가성비 그 이상”의 만족감을 드러냈다.
조리는 ‘선택’이 아니라 ‘권리’ 산후조리는 단순히 몸을 쉬는 시간이 아니다. 출산이라는 큰일을 치른 산모에게는 전문적인 회복 지원과 돌봄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조리 환경은 지역과 경제력에 따라 크게 갈리고 있다. 공공산후조리원은 이러한 격차를 줄이고, 누구나 평등하게 출산 이후를 준비할 수 있게 하는 장치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