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역사 속 오늘, 6월 20일

고은희 기자 2025-06-20 00:00:03
6월 20일은 난민의 현실을 조명하고, 냉전과 민권, 한반도의 평화 모색 등 전환의 순간을 기록한 날이다. 전쟁과 화해, 인권과 과학의 발자취가 교차한다.

 
▶태풍 ‘셜리’ 상륙 (1963년) 

1963년 6월 19일부터 20일 사이에 한반도 남해안에 상륙해 남부 지방에 많은 피해를 줬다.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총 강수량 200mm 이상의 호우와 최대풍속 30m/s 안팎의 강풍이 불었다. 사망·실종자가 110여명에 이르렀다.

 
▶ 유엔, ‘세계 난민의 날’ 제정…전쟁과 인권의 경계선 (2001년)

2001년부터 유엔은 매년 6월 20일을 ‘세계 난민의 날’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이날은 1951년 유엔난민협약의 채택을 기리기 위한 취지로 시작됐으며, 전 세계 전쟁·기후 재난 등으로 고통받는 난민의 실상을 알리고 인도주의적 연대를 호소하는 날이다. 해마다 난민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 날은 국제 사회의 양심을 일깨우는 계기로 기능하고 있다.

 
▶ ‘워터게이트’ 폭로로 닉슨 대통령 위기 몰리다 (1972년)

1972년 6월 20일, 미국 워싱턴포스트 기자 밥 우드워드와 칼 번스타인이 닉슨 행정부의 민주당 도청 사건을 폭로하며 '워터게이트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날의 백악관 내부 녹음 자료는 결국 닉슨 대통령의 사임을 이끄는 결정적 증거로 작용했다. 이는 언론의 사회적 책임과 대통령 권력의 한계를 명확히 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전쟁 발발 (1866년)

1866년 6월 20일, 독일연방 내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 간의 권력 다툼이 극에 달하며 '7주 전쟁'이라 불리는 독일-오스트리아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결국 프로이센의 승리로 끝나 독일 제국의 통일 기반이 마련되고, 유럽 정치 질서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 역사 속 오늘, 6월 20일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