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역사 속 오늘, 6월 20일

고은희 기자 2025-06-20 00:00:03
6월 20일은 난민의 현실을 조명하고, 냉전과 민권, 한반도의 평화 모색 등 전환의 순간을 기록한 날이다. 전쟁과 화해, 인권과 과학의 발자취가 교차한다.

 
▶태풍 ‘셜리’ 상륙 (1963년) 

1963년 6월 19일부터 20일 사이에 한반도 남해안에 상륙해 남부 지방에 많은 피해를 줬다.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총 강수량 200mm 이상의 호우와 최대풍속 30m/s 안팎의 강풍이 불었다. 사망·실종자가 110여명에 이르렀다.

 
▶ 유엔, ‘세계 난민의 날’ 제정…전쟁과 인권의 경계선 (2001년)

2001년부터 유엔은 매년 6월 20일을 ‘세계 난민의 날’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이날은 1951년 유엔난민협약의 채택을 기리기 위한 취지로 시작됐으며, 전 세계 전쟁·기후 재난 등으로 고통받는 난민의 실상을 알리고 인도주의적 연대를 호소하는 날이다. 해마다 난민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 날은 국제 사회의 양심을 일깨우는 계기로 기능하고 있다.

 
▶ ‘워터게이트’ 폭로로 닉슨 대통령 위기 몰리다 (1972년)

1972년 6월 20일, 미국 워싱턴포스트 기자 밥 우드워드와 칼 번스타인이 닉슨 행정부의 민주당 도청 사건을 폭로하며 '워터게이트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날의 백악관 내부 녹음 자료는 결국 닉슨 대통령의 사임을 이끄는 결정적 증거로 작용했다. 이는 언론의 사회적 책임과 대통령 권력의 한계를 명확히 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전쟁 발발 (1866년)

1866년 6월 20일, 독일연방 내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 간의 권력 다툼이 극에 달하며 '7주 전쟁'이라 불리는 독일-오스트리아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결국 프로이센의 승리로 끝나 독일 제국의 통일 기반이 마련되고, 유럽 정치 질서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문 이미지
▲ 역사 속 오늘, 6월 20일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19일

역사 속 오늘, 8월 19일

1991년 8월 19일, 소련은 정치적 대전환의 중심에 서 있었다. 공산당 내 보수 강경파들은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개혁 정책과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
역사 속 오늘, 8월 18일

역사 속 오늘, 8월 18일

판문점 도끼만행, 남북 긴장의 정점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발생한 도끼만행사건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극단적으로 끌어올린
역사 속 오늘, 8월 17일

역사 속 오늘, 8월 17일

🇮🇩 인도네시아, 식민 지배에서 벗어난 날 1945년 8월 17일,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인도네시아는 역사적인 독립을 선언했다. 자카르타에서 민족주
역사 속 오늘, 8월 16일

역사 속 오늘, 8월 16일

🎸 엘비스 프레슬리, 로큰롤의 왕이 떠나다 1977년 8월 16일, ‘로큰롤의 제왕’ 엘비스 프레슬리가 42세의 나이로 미국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
역사 속 오늘, 8월 15일

역사 속 오늘, 8월 15일

광복, 35년 식민지배의 끝 8월 15일은 한민족에게 있어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난 해방의 날이자, 광복의 기쁨이 온 땅에 울려 퍼진 역사적 순간이다. 1945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역사 속 오늘, 8월 14일

1945년 8월 14일, 일본이 연합국에 포츠담 선언 수락을 통보하며 무조건 항복을 선언, 제2차 세계대전 종식을 알렸다. 이는 한반도 일제 강점기 종료 하루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역사 속 오늘, 8월 13일

1961년 8월 13일, 동독은 주민들의 서독 탈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 건설을 시작했다. 철조망과 콘크리트 장벽이 도시를 양분하며 가족과 이웃이 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