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 관련 뉴스에 반영된 국민들의 경제 심리가 11개월 만에 가장 낙관적인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개발한 뉴스심리지수가 100을 넘긴 상태에서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며,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뉴스심리지수는 108.43을 기록했다. 전날인 12일에는 109.05까지 치솟으며 지난해 7월 11일(110.86)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뉴스심리지수는 2022년 1월부터 한국은행이 매주 월요일 공표하는 실험통계로, 경제 관련 기사에 담긴 문장을 인공지능이 긍정·부정·중립으로 분류해 산출한 지수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장기 평균보다 경제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이 지수는 지난해 12월 10일,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77.08까지 급락하며 2022년 12월 화물연대 파업 당시(77.02)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후 점진적으로 반등에 나서 1월 한 차례 100선을 회복했으나, 미국의 관세 인상 우려가 커진 4월 9일 다시 82.83으로 내려앉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며 100선을 상회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경제심리 회복세를 국내 정치 불확실성의 완화, 주식시장 회복, 그리고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논의 등과 연관 짓는다.
실제로 한은이 산출하는 정치 불확실성 지수는 지난 15일 기준 1.0(일주일 이동평균)으로, 비상계엄 직전이었던 지난해 12월 3일(0.5) 수준까지 떨어졌다. 해당 지수는 계엄 사태 직후 급등해 12월 14일 12.8로 정점에 달했으나, 대선을 거치며 빠르게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주식시장도 긍정적이다. 코스피는 최근 2,900선을 돌파하며 투자심리가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고, 여기에 정부가 20조원 이상의 2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민생·내수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이란 기대도 작용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한국 경제의 회복 조짐을 주목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새 정부의 전략산업 재정 지원과 기업 지배구조 개혁이 주식시장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한국 증시의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성을 언급했다. 씨티그룹은 “정치적 안정성과 확장적 재정정책, AI 투자 확대, 재생에너지 부문 기대가 경제 회복의 기회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경제심리 지표가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실제 소비 및 투자로 연결될 수 있을지는 향후 정부 정책 실행과 대외 변수의 전개에 달려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