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이재명 대통령, 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 순방…“국익 중심 실용 외교 첫걸음”

이한나 기자 2025-06-17 00:30:40
본문 이미지
이재명 대통령 부부, G7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하는 모습 (출처=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6월 1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김혜경 여사와 함께 공군 1호기로 캐나다 캘거리로 출국하며, 취임 후 12일 만에 첫 해외 순방 길에 올랐다. 이번 방문은 16~17일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리는 51회 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것으로, 한국은 초청국 자격이다.

대통령실은 이를 “정상외교 복원의 계기”로, 이 대통령이 직접 제시한 “국익 중심 실용 외교”의 첫걸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첫날인 16일 오후, 이 대통령은 도착 직후 곧바로 초청국 정상들과 양자 회담을 갖는 것으로 일정이 구성돼 있지만, 한미·한일 회담 관련 일정은 현재 조율 중이다. 회담이 성사될 경우 ▲관세 문제 ▲주한미군 주둔 및 방위비 ▲한일 협력 메시지가 주요 의제로 전망된다.

17일 열리는 확대 세션에서는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와 AI-에너지 융합을 주제로 이 대통령이 발언할 예정이다.

이번 G7 회의에는 회원국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외에도 한국을 포함해 호주, 인도, 브라질, 멕시코, 남아공, 우크라이나 등 7개국이 초청됐다.

이번 순방은 국내 정치적으로도 상징성이 크다. 지난 6월 4일 취임한 이 대통령은 집권 초기부터 ‘외교 정상화’와 ‘경제 회복’을 핵심 국정 기조로 내세워왔다. 특히 취임 직후 고물가와 수출 둔화, 국회 여소야대 국면 등으로 협치와 민생안정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G7이라는 다자외교 무대를 통해 외교적 존재감을 선보이며 국정 동력 확보에 나서는 셈이다.

또한 순방 전 대기업 총수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정부가 규제를 풀고, 통상 마찰을 해결해 기업 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번 정상외교의 성과가 곧바로 국내 경제 메시지로 연결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 대통령은 18일 귀국 예정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세계 최초의 테마파크인 '산타클로스 랜드'가 개장한 날로, 놀이문화의 새 지평을 연 상징적 순간이다. 또한 미국·영국·소련이 전략무기 제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