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체감 물가는 폭등 중…새 정부 첫 과제 ‘장바구니 물가’

최현서 기자 2025-06-15 10:53:47
8일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초콜릿이 진열돼 있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74개 품목 가운데 계엄사태 직전인 지난해 11월 대비 물가지수가 상승한 품목은 53개로 전체의 72%를 차지한다. 초콜릿은 10.4% 치솟았고 커피는 8.2% 상승했다. 양념 소스와 식초, 젓갈은 7% 넘게 올랐다. (사진=연합뉴스)

물가 잡기, 새 정부의 첫 시험대에 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9일 열린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라면 한 개에 2,000원 한다는데 진짜인가요?”라며 물가 급등에 대한 우려를 직접 드러냈다. 그는 “물가 문제가 국민에게 큰 고통을 준다”며 가능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정권 출범 초기부터 물가 대응을 국정 우선 과제로 설정한 배경에는 최근 몇 년간 누적된 고물가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깔려 있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3년 동안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평균 3.7%로, 문재인 정부 5년간 평균치인 1.4%의 두 배를 훌쩍 넘었다. 특히 윤 정부가 출범한 2022년엔 소비자물가가 5.1% 뛰며 고물가 시대의 포문을 열었다.

국민 체감과 직결된 지표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생활물가지수는 2022년 6.0%, 2023년 3.9%, 2024년 2.7%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같은 기간 각각 5.4%, 6.8%, 9.8%로 오르며 4년 만에 9%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근원물가 지표로 불리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도 2022년과 2023년에는 4%대를 기록했다가 2024년 들어서야 2.1%로 낮아졌다.

외식 물가의 상승세는 특히 두드러졌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부문 소비자물가지수는 124.56으로 기준연도인 2020년과 비교해 25% 가까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6%였던 것과 비교하면 외식 물가가 훨씬 더 가파르게 오른 셈이다. 품목별로는 김밥이 38%, 햄버거가 37% 올랐으며, 떡볶이·짜장면·도시락·갈비탕 등도 30% 이상 상승했다. 전체 외식 품목 39개 중 30개가 20% 이상 올랐고 상승률이 전체 물가보다 낮은 품목은 소주 등 단 4개뿐이었다.

외식 물가 상승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인건비 인상이 꼽힌다. 여기에 이상기후에 따른 원재료 수급 불안정, 환율 상승, 배달비 증가 등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이러한 원인에 대응하기 위해 할당관세 확대와 수입 원재료 안정화를 위한 단기 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의 물가 대응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정권교체 3년 만에 맞은 2025년 여름. 계엄과 탄핵 정국이라는 혼란을 딛고 출범한 새 정부 앞에는 식탁 물가부터 환율 불안까지 복합적인 민생 과제가 놓여 있다. 여야를 떠나 물가 안정이야말로 국민의 삶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재명 정부의 ‘물가 해법’에 거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