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돈 많이 줘도 싫어요" MZ세대가 외면하는 회사의 공통점

최현서 기자 2025-06-11 22:50:47
연봉이 아무리 높아도 도저히 다니고 싶지 않은 회사가 있다.
특히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직장인들은 조직의 도덕성과 공정성을 핵심 기준으로 삼으며, 이에 어긋나는 기업에겐 높은 보수도 통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본문 이미지
▲잡코리아

11일 잡코리아 콘텐츠랩이 20~40대 직장인 1,2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34.5%)가 ‘부도덕한 관리자나 임원이 있는 회사’는 연봉이 높아도 기피 대상이라고 답했다.

이 비율은 20대(36.4%)와 30대(34.5%)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고, 40대 이상은 30.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MZ세대일수록 조직 내 윤리성과 상식적 운영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여준다.

이어 ▲‘자신과 맞지 않는 조직 문화와 가치관’(33.9%) ▲‘공정하지 않은 보상 체계’(30.6%) ▲‘방향성 없는 업무 지시’(25.6%) ▲‘무기력한 사내 분위기’(15.4%) 등이 회사를 떠나고 싶은 이유로 꼽혔다.

MZ세대는 직장을 단순한 생계 수단이 아닌,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방향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직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묻는 항목에서도 전 세대 공통으로 ‘워라밸(Work-Life Balance)’이 50.3%로 1위를 차지했으며, 특히 2030세대 절반 이상이 이를 최우선 기준으로 삼았다.

좋은 직장의 조건으로는 ‘공정한 인정과 보상’(44.6%), ‘성장 가능성’(35.3%)이 상위에 올랐다. 이는 단순히 연봉 수준보다는 노력에 대한 보상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중시하는 흐름을 반영한다.

업무 몰입을 높이는 조건으로는 ▲‘명확한 업무 방향과 목표’(49.8%) ▲‘개인 역량에 맞는 역할 배분’(48.2%) ▲‘성과에 대한 피드백과 인정’(38.2%)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변지성 잡코리아 콘텐츠마케팅 팀장은 “이제는 ‘어떤 일을 하느냐’보다 ‘누구와, 어떤 가치관 속에서 일하느냐’가 더 중요한 시대”라며 “기업도 이름값이나 연봉 이상의 조직문화와 방향성, 그리고 구성원의 성장 가능성까지 고려하는 인사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역사 속 오늘, 7월 27일

7월 27일은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멈춘 날로, 한반도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형성된 역사적 전환점이다. 이 날은 미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