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5월 수출 1.3% 감소…4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 반도체는 사상 최대

최현서 기자 2025-06-01 09:42:31
본문 이미지
▲컨테이너 쌓인 신선대 부두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한국의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3% 줄어들며 4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반도체 수출은 역대 5월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미국의 관세 영향으로 자동차 등 대미 수출이 줄면서 전체 수출 흐름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5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5월 수출액은 572억7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감소했다. 월간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줄어든 것은 지난 1월 이후 처음이다.

앞서 한국은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15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왔으며 올해 2월부터는 다시 상승 흐름을 회복한 바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도 반도체 수출은 꾸준한 호조세를 보였다. 5월 반도체 수출액은 13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하며 역대 5월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가 이어졌고, 고정거래 가격 상승도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62억 달러로 4.4% 감소했다. 특히 미국의 고율 관세와 현지 공장 가동 이슈 등이 겹치면서 대미 수출이 위축됐고 이는 전체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국가별 수출을 보면, 미국(100억 달러, -8.1%)과 중국(104억 달러, -8.4%) 모두 두 자릿수에 가까운 감소세를 보였다. 미국은 자동차 수출 감소가 중국은 반도체와 석유화학 수출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5월 수입은 503억3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5.3% 줄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69억4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며 지난해 6월 이후 11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산업부는 “글로벌 수요 회복세와 주력 품목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일부 품목의 관세 영향과 주요 시장 수출 부진이 전체 흐름에 부담으로 작용했다”며 “대외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수출 지원 대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세계 최초의 테마파크인 '산타클로스 랜드'가 개장한 날로, 놀이문화의 새 지평을 연 상징적 순간이다. 또한 미국·영국·소련이 전략무기 제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