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ㆍ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5차 오전 공판을 마친 후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찰 특별수사단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 사용자 정보가 원격 삭제된 정황을 포착, 증거인멸 혐의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26일 경찰에 따르면 삭제 시점은 비상계엄 사태 발생 3일 뒤인 지난해 12월 6일로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수사가 본격화되던 시점과 일치한다.
앞서 홍 전 차장은 국회 정보위원회 면담에서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직후 ‘싹 다 잡아들여 정리하라’고 지시했고 방첩사령부로부터 구체적인 체포 대상 명단도 전달받았다”고 증언한 바 있다.
같은 날 경찰은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을 비롯해 조지호 경찰청장, 목현태 전 국회경비대장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방식으로 확보했다. 다만 해당 기기는 비화폰이 아닌 일반 휴대전화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들 3명의 비화폰 사용자 정보가 대통령경호처 측에서 원격으로 삭제된 사실을 확인하고, 의도적 증거인멸 정황이 뚜렷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삭제 지시자가 경호처 김성훈 차장 또는 윤 전 대통령일 가능성도 열어두고 수사를 확대 중이다.
한편, 경찰은 최근 대통령경호처로부터 국무회의장(대접견실) 내부와 대통령 집무실 복도 폐쇄회로(CC)TV 영상을 임의제출받아 분석했다. 그 결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핵심 내각 3인의 기존 진술과 영상 내용이 상충되는 부분을 확인하고, 이들을 26일 줄소환해 조사에 나섰다.
경찰 관계자는 “이들 전직 각료들이 국회와 검찰 조사에서 ‘계엄과 무관하다’,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진술을 해왔지만, CCTV 영상과 일치하지 않는 대목이 확인됐다”며 허위 진술 여부를 중심으로 진위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향후 윤 전 대통령에 대해 특수공무집행방해 및 증거인멸 혐의 추가 적용 가능성도 열어두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핵심 내각 3인에 대해서는 검찰 송치 여부를 조만간 결정할 방침이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