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장원영 얼굴 된다고? MZ 홀린 ‘주파수 영상’의 진실

최현서 기자 2025-05-07 15:50:25
▲인터넷 커뮤니티 캡쳐

“경고. 본인 얼굴로 절대 돌아갈 수 없습니다.”

최근 인스타그램 릴스를 뜨겁게 달군 <장원영 얼굴 뺏는 주파수> 영상에는 이런 문구가 큼지막하게 떠 있다. 설명란에는 “팔로우 안 하면 효과가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경고도 함께 붙었다. 과학도, 의학도 없이 단지 ‘소리’만으로 외모가 바뀐다는 이 영상, 정말 믿을 수 있을까?

영상은 검은 배경 위에 합성된 듯한 여성 얼굴, 반복되는 기계음, 그리고 마법의 주문처럼 이어지는 자극적인 문장들로 구성돼 있다. 제목은 과장 수준을 넘어선 위협적 표현도 동원한다. “한 번 들으면 장원영 얼굴로 살아야 한다”, “효과는 팔로우해야 극대화된다.”
미신과 바이럴 마케팅이 뒤섞인 이 콘텐츠는 지금도 수많은 MZ세대의 스마트폰에서 재생되고 있다.

이른바 ‘주파수 영상’은 특정 주파수를 들으면 외모가 바뀌고, 연애가 시작되고, 재회가 이뤄지고, 돈이 들어온다는 식의 믿음을 유도한다. 유튜브, 릴스, 틱톡 등 플랫폼에는 ‘예뻐지는 주파수’, ‘재회 주파수’, ‘합격 주파수’ 같은 제목의 영상이 넘쳐나고, 수십만에서 수백만 회에 달하는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댓글창은 후기라는 이름의 자기암시로 가득하다. “듣자마자 연락이 왔어요”, “요즘 예뻐졌다는 말 진짜 많이 들어요”, “면접 붙었어요” 같은 이야기가 반복된다.

그런데 정작 이 영상들이 기반하고 있는 ‘소리’는 어디서 온 걸까? 누가 만들었고, 어떤 원리로 효과를 낸다는 건지, 출처나 근거는 없다. 전문가 자문도, 과학적 설명도 없다. 대신 “기 받아가세요”, “좋아요 누르면 더 잘 됩니다” 같은 멘트가 마치 주술처럼 반복된다.

이는 일종의 디지털 주술이다. 과학의 껍데기를 입은 신종 플라시보 콘텐츠. 검증된 효과는 없지만, ‘믿는 순간 효과가 생긴다’는 자기암시를 통해 일시적 위안을 주는 구조다.
심리학적으로는 불확실한 현실에 대한 불안, 통제 불가능한 삶에서 비롯된 무기력이 이런 ‘마음의 의례’를 낳는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문제는 이 콘텐츠가 단순한 놀이를 넘어선다는 점이다.
“팔로우 안 하면 효과가 줄어든다”는 식의 표현은 명백한 심리적 조작이다. 외모, 연애, 합격처럼 민감한 욕망을 자극하면서도, 결과의 책임은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떠넘긴다. 이 과정에서 자존감은 흔들리고, 이용자는 스스로를 ‘결핍된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

특히 “장원영 얼굴로 살아야 한다”는 식의 문구는 외모 불안을 조장한다. 특정 외모를 절대적 기준으로 이상화하고, 다른 얼굴은 되돌아갈 수 없는 ‘열등한 상태’로 낙인찍는 방식은 특히 청소년과 자존감이 민감한 연령대에 위험하다.

또한 이러한 단일 주파수를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으로 장시간 반복 청취할 경우, 청각 피로나 심리적 의존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반복적 음향 자극이 뇌파에 영향을 주며, 오히려 집중력 저하나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