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지속적인 울분 상태에 있으며, 대다수가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은 지난달 전국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증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 연구 결과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9%가 '장기적 울분 상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 중 12.8%는 심각한 수준의 울분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울분의 정도는 연령과 소득 수준, 사회적 계층 인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심한 울분 경험자는 30대(17.4%)와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21.1%)에서 가장 높았다.
응답자의 69.5%는 "세상이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했다. 다만,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58.0%가 "나는 대체로 공정하게 대우받는다"고 응답해 개인과 사회 전반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다소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울분의 주된 원인으로는 '입법·사법·행정부의 비리나 잘못 은폐'(85.5%),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85.2%), '안전관리 부실로 인한 사회 참사'(85.1%) 등이 지적됐다.
또한, 응답자의 47.1%가 지난 1년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정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했다고 밝혔으며,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개인 및 가족의 건강 변화'(42.5%)와 '경제적 수준 변화'(39.5%)가 가장 많았다.
특히 27.3%는 일상생활을 어렵게 하는 심각한 정신건강 위기를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인 51.3%가 자살을 생각했고, 13.0%는 실제로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신건강 위기를 경험한 이들 중 60.6%는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으로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털어놓기'(39.2%)와 '혼자 참고 아무것도 하지 않기'(38.1%)가 많았으며,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한 비율은 15.2%에 그쳤다.
이번 조사를 총괄한 유명순 교수는 "사회적 신뢰와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근본적 대책"이라며, "사회적, 의료적 차원에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