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코로나, 실험실서 시작됐다?”… 백악관 홈페이지에 ‘유출설’ 공식 게시

최현서 기자 2025-04-19 11:37:58
본문 이미지
▲백악관 공식 홈페이지 (사진=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을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해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백악관은 이날 홈페이지에 ‘실험실 유출(Lab Leak)’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을 통해, 2020년 팬데믹을 촉발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자연 기원이 아닌 인위적으로 제조돼 우한 바이러스연구소(WIV)에서 유출됐다고 주장했다.

해당 게시물은 지난해 미 하원 감독위원회가 공화당 주도로 발표한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백악관은 이 보고서 전문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링크도 함께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한 바이러스연구소는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실험을 수행한 기관이며, 소속 연구원들이 2019년 가을부터 코로나19와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는 정황도 포함돼 있다.

공화당 소속 제임스 코머 하원 감독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국민에게 코로나19의 진실을 제공했다”며 백악관의 이번 조치를 환영했다.

하지만 이 같은 ‘실험실 유출설’에 대해 미국 정보기관들 간의 입장은 여전히 분분하다. FBI, CIA, 에너지부는 실험실 유출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반면, 국가정보위원회(NIC) 등 일부 기관은 여전히 자연발생설에 힘을 싣고 있다.

정치권 역시 극명히 갈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팬데믹 초기부터 ‘중국 책임론’을 제기하며 인위적 기원설을 강력히 주장해왔고, 이를 부정한 앤서니 파우치 전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에 대해 경호 철회 등 보복성 조치를 단행한 바 있다.

반면 민주당은 백악관의 이번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라울 루이즈(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은 “이는 팬데믹 초기의 대응 실패를 은폐하려는 시도”라며, “비과학적인 주장을 통해 국민을 오도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실제로 해당 보고서가 처음 발표될 당시에도 민주당 의원들은 서명을 거부하며, “정치적 목적이 짙게 깔린 보고서”라고 반박한 바 있다.

한편 미국 내 여론은 실험실 유출설에 더 가까운 상태다.
2023년 《이코노미스트》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가 공동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66%가 ‘코로나19는 실험실에서 유출됐다’는 주장에 신뢰를 보였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역사 속 오늘, 8월 3일

세계 최초의 테마파크인 '산타클로스 랜드'가 개장한 날로, 놀이문화의 새 지평을 연 상징적 순간이다. 또한 미국·영국·소련이 전략무기 제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역사 속 오늘, 8월 2일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 걸프전의 서막을 연 날로, 중동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온 날이다. 또한 히틀러가 독일의 총통으로 권력을 집중해 나치
역사 속 오늘, 8월 1일

역사 속 오늘,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발발…폴란드 저항군 나치에 맞서다 (1944년)1944년 8월 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반(反)나치 저항운동인 ‘바르샤바 봉기’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역사 속 오늘, 7월 31일

7월 31일은 전 세계적으로 기억해야 할 역사적 전환점들이 겹쳐 있는 날입니다. 한 작가의 실종은 문학의 신화를 남겼고, 한 지도자의 선언은 독립국가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역사 속 오늘, 7월 30일

7월 30일은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을 최종 결정하며 걸프전의 도화선이 된 날이다. 또한 유엔이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에 제재를 가하고, ‘세계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역사 속 오늘, 7월 29일

7월 29일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첫 총선이 치러진 정치적 전환점이자, 다이애나와 찰스 왕세자의 세기적 결혼식이 열린 날이다. 또한 NASA와 IAEA가 공식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역사 속 오늘, 7월 28일

7월 28일은 전쟁의 불씨가 세계를 집어삼킨 날, 대지진이 수십만 생명을 앗아간 날, 그리고 초고층 빌딩이 비행기와 충돌한 날. 인류의 기억에 깊이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