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나 왜 이렇게 예민하지?”…‘초민감자(HSP)’라는 이름으로 설명되는 당신의 감정

최현서 기자 2025-04-16 13:45:30
[AI DALL-E3가 생성한 이미지]

MBTI에 이어 새로운 성향 테스트가 주목받고 있다. 요즘 MZ세대를 중심으로 유행하는 HSP(Highly Sensitive Person, 초민감자) 테스트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 반응과 자극 민감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HSP란?
HSP는 말 그대로 ‘감각과 감정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을 뜻한다.
외부 자극에 민감한 신경 체계를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전체 인구의 약 15~20%가 해당 성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민감자는 보통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 작은 소리나 밝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함
✔ 타인의 감정과 분위기에 쉽게 영향을 받음
✔ 섬세한 감성과 예술적 감각을 지님
✔ 경쟁, 갈등, 관찰당하는 상황에서 유난히 불안함

예민함은 성격 이상이 아니다
HSP는 정신질환이 아니라 하나의 성격적 특성이다.
감각적 민감성과 공감력이 뛰어나지만, 자극에 쉽게 피로를 느끼고 혼자만의 회복 시간이 필요하다.
사람들과 어울린 후 에너지가 바닥나거나,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긴장하고 걱정하는 경험이 많다면 HSP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예민한 성향 탓에 자신을 ‘유난스럽다’고 느끼거나, 반대로 주변 사람들에게 이해받지 못한다는 외로움을 경험하는 경우도 많다.

민감한 사람을 위한 생활 팁
초민감자는 일상에서 감각 피로와 정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작은 전략이 필요하다.
- 조용한 공간에서의 휴식
- 이어플러그, 스트레스볼 등 감각 조절 도구 활용
- 감정을 표현하고 나누는 습관 들이기
- 카페인 줄이기 등 자극 요인 관리
- 그림 그리기, 글쓰기 등 자기표현 활동 활용
이러한 방법들은 예민함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민감성을 조절하고 나만의 리듬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

당신도 HSP일까?
✔ 나는 주변의 미묘한 변화를 잘 감지한다.
✔ 타인의 기분이나 감정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 밝은 빛, 시끄러운 소리, 강한 냄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 갑작스러운 소리에 깜짝 놀라거나 스트레스를 받는다.
✔ 경쟁 상황이나 누군가가 지켜보는 환경에서는 실수할 확률이 높다.
✔ 짧은 시간에 여러 일을 처리할 때 압박감을 크게 느낀다.
✔ 큰일을 치른 후 혼자만의 회복 시간이 꼭 필요하다.
✔ 폭력적이거나 자극적인 영상·뉴스를 피하는 편이다.
✔ 배가 고프면 쉽게 짜증이 나고 집중이 힘들다.
✔ 변화에 민감하며, 일상의 리듬이 흐트러지면 불안해진다.
✔ 풍부한 내면 세계를 가지고 있고, 감정적으로 깊게 반응한다.
✔ 예술, 음악, 자연에 대해 유난히 감동을 잘 받는다.
✔ 정리되지 않은 환경이나 소란스러운 장소에서 쉽게 피로를 느낀다.
✔ 다른 사람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하지 않기 위해 신경을 많이 쓴다.
✔ 혼잡한 장소보다 조용한 공간을 선호한다.
✔ 어릴 때부터 ‘예민하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 갈등 상황이나 누군가의 분노에 압도당해 위축된다.
✔ 사소한 실수에도 죄책감을 크게 느낀다.
✔ 무례하거나 공격적인 사람 앞에서는 위축된다.
✔ 어떤 사람과 만난 후 쉽게 에너지가 소진된다.
이런 항목이 13개 이상 해당된다면, 당신은 초민감자일 수 있다.

HSP는 고칠 대상이 아니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할 성향이다. 예민한 감정은 약점이 아니라, 세상을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섬세한 감각의 또 다른 이름일지도 모른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그냥 살자'고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영철 교수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어떻게 받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역사 속 오늘, 10월 4일 (최종편)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기존 달력의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그레고리력’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10월 4일 다음 날은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역사 속 오늘, 10월 3일

1990년 10월 3일, 동독과 서독은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하나의 독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이 채 되지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역사 속 오늘, 10월 2일

1869년 10월 2일, 한 아이가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훗날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며, 비폭력과 평화의 길을 세계에 보여준 마하트마 간디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역사 속 오늘, 10월 1일

1960년 10월 1일 – 나이지리아 독립 아프리카 최대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 영국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 선언. 독립 후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역사 속 오늘, 9월 30일

1882년 9월 30일 – 세계 최초 수력 중앙 발전소 가동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 폭스 강, 에디슨 수력 중앙 발전소(벌컨 스트리트 발전소) 가동 시작. 세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역사 속 오늘, 9월 29일

1829년 9월 29일 – 런던 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영국 내무장관 로버트 필 경, 런던 광역경찰청(메트로폴리탄 경찰) 설립. 찰스 로완과 리처드 메인의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역사 속 오늘, 9월 28일

1994년 9월 28일 – 에스토니아호 침몰 발트해에서 여객선 에스토니아호 침몰. 탑승자 989명 중 138명만 구조, 사망·실종 약 850명. 20세기 평시 최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