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사법부 독립성 논란, 결론 없이 끝난 전국법관대표회의

고은희 기자 2025-05-26 16:08:47
▲회의 비공개를 알리는 김예영 전국법관대표회의 의장 /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판결 이후 불거진 사법부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 논란을 논의하기 위한 임시회의가 뚜렷한 결론 없이 종결됐다.

 26일 오전 10시 경기 고양시 사법연수원에서 열린 전국법관대표회의 임시회의는 전체 법관대표 126명 중 약 88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김예영 의장(서울남부지법 부장판사)이 상정한 두 건의 안건이 논의되었다. ‘재판 공정성과 사법의 민주적 책임을 위해 노력한다’ ‘특정 사건의 이례적 절차 진행으로 사법 신뢰가 흔들린 것을 인식하고 재판독립 침해 가능성에 우려한다’ 등 총 두 가지 안건이었다. 또한, 현장에서 추가로 다섯 건의 안건이 발의되어 상정되었다. 이들 안건은 '정치의 사법화'가 법관 독립에 대한 중대한 위협 요소임을 확인하거나, 이 후보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사법부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하거나, 개별 재판을 이유로 법관에 대해 과도하게 책임을 묻는 것이 사법부 독립을 침해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내용 등이었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는 상정된 7개 안건에 대해 표결을 진행하지 않았다. 내부적으로 표결하자는 주장과 다음 회의로 속행하자는 주장이 엇갈렸고, 속행 여부를 묻는 표결에서 재석 90명 중 54명이 찬성하여 대선 이후 회의를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이는 대선이 사법개혁을 둘러싼 주요 의제로 떠오른 상황에서 정치적 영향을 피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다음 회의는 6월 3일 대선 이후 원격회의로 열릴 예정이며, 정확한 날짜는 추후 의견을 수렴해 정하기로 하였다. 이번 임시회의는 한 법관대표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며, 단체 대화방에서 비공식 투표를 진행한 끝에 임시회 소집 요구를 위한 정족수(26표)를 모아 소집되었다. 임시회 소집에 반대하는 의견도 70표 가까이 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법관대표회의는 각급 법원에서 선출된 대표 판사들이 모여 사법행정 및 법관 독립에 관해 의견을 표명하거나 건의하는 회의체로, 이번 회의는 사법부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에 대한 법관들의 우려와 고민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역사 속 오늘, 5월 29일

역사 속 오늘, 5월 29일

5월 29일은 인류의 도전 정신이 빛났고, 제국의 몰락과 민주주의의 진전, 그리고 세계 정치의 전환점이 된 날이다. ▶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 인간의
역사 속 오늘, 5월 28일

역사 속 오늘, 5월 28일

5월 28일은 인류의 지식과 정의, 독립의 열망이 빛난 날이다. ▶ 예언된 일식, 전쟁을 멈추다 (기원전 585년) 기원전 585년 5월 28일, 그리스 철학자 탈레
역사 속 오늘, 5월 27일

역사 속 오늘, 5월 27일

5월 27일은 민주주의의 함성이 울렸고, 인간 기술의 도약과 역사적 격변이 일어난 날이다. ▶ 광주 민주화 운동, 계엄군의 진압으로 막 내리다 (1980년)
역사 속 오늘, 5월 26일

역사 속 오늘, 5월 26일

5월 26일은 20세기 전쟁과 냉전, 독립운동과 사회 갈등의 긴장들이 분출된 날이다. 정치·군사·사회·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사적 전
역사 속 오늘, 5월 25일

역사 속 오늘, 5월 25일

5월 25일은 정치적 격변과 사회 정의를 향한 저항, 그리고 문화적 상징의 탄생이 교차한 날이다. 미국, 유럽, 라틴아메리카, 아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이
역사 속 오늘, 5월 24일

역사 속 오늘, 5월 24일

5월 24일은 세계사적으로 통신기술의 진보, 전쟁의 비극, 문화적 상징의 탄생 등 다양한 사건이 집중된 날이다. 인류의 진보와 고통이 교차한 이 날의
역사 속 오늘, 5월 23일

역사 속 오늘, 5월 23일

5월 23일은 세계사 속에서 침략과 저항, 전환과 진보의 순간들이 교차한 날이었다. 임진왜란 발발 (1592년)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왜군이 부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