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재지정되면서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급격히 냉각되고 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둔 정치적 불확실성과 맞물려 매매뿐 아니라 전세와 월세 거래량도 동반 하락했다.
▲ 서울 아파트 단지 / 출처=연합뉴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191건으로 전월(9,675건) 대비 무려 67.0%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647건)과 비교해도 31.3%나 줄어든 수치다.
특히 2~3월 거래가 급증했던 강남3구(서초·강남·송파)의 거래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송파구는 865건에서 63건으로, 강남구는 802건에서 37건으로, 서초구는 410건에서 11건으로 각각 급감했다.
가격도 예외는 아니었다. 4월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10억7674만원으로, 한 달 전보다 21.7% 떨어졌다. 전세보증금도 평균 5억4882만원으로 집계돼, 3월 대비 1.6%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지난 2~3월 강남권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로 인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급증했으나, 4월 들어 다시 거래가 얼어붙으면서 전반적인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세와 월세 거래량도 동반 하락했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지난달 9,011건으로 전월 대비 32.8% 감소했으며, 월세 거래는 총 6,324건으로 23.1% 줄었다.
평균 거래 금액 역시 하락세를 나타냈다. 매매 평균 가격은 10억 7,674만원으로 전월 대비 21.7% 하락했고, 전세 보증금 평균은 5억 4,882만원으로 1.6% 떨어졌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선 이후에도 고금리 기조와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계속되면 관망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7월 시행 예정인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기점으로 거래 감소세가 더 심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