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매수심리 급랭…상승 거래↓·하락 거래↑
서울·경기 ‘하락 전환’ 뚜렷…인천·지방은 변동 제한
규제지역 직격탄…거래 위축 장기화 주의
송성용 기자2025-08-11 09:15:40
▲ 대출 규제 이후 아파트 하락거래 비중 늘어 / 연합뉴스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서울·경기 중심의 매수세가 빠르게 식으면서 7월 전국 아파트 시장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줄고 ‘하락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46.5%) 대비 2.1%포인트(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변화는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수도권 상승 거래 비중은 48.1%→45.0%로 3.1%p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35.1%→39.2%로 4.1%p 늘었다. 서울은 상승 53.2%→51.1%(–2.1%p), 하락 30.4%→34.0%(+3.6%p), 경기는 상승 46.0%→43.2%(–2.8%p), 하락 37.1%→40.6%(+3.5%p)로 집계됐다. 인천은 상승 비중이 큰 변동 없이 하락만 40.6%→42.2%로 소폭 늘었다. 지방은 상승 44.1%→44.0%(–0.2%p), 하락 43.1%→43.5%(+0.4%p)로 변화가 제한적이었다.
세종시는 하락 전환 폭이 컸다. 상승 거래 비중이 48.9%에서 41.7%로 7.2%p 줄고, 하락 거래 비중은 35.4%에서 45.2%로 9.9%p 뛰었다. 그간 개발 기대감이 약화되며 매수세가 진정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직방은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6개월 내 전입 의무 등 6·27 대책이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직접 적용되면서 실수요·투자 수요 모두 관망세로 돌아섰다고 진단했다.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해 실제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며 입지·주택유형의 ‘제때 공급’ 부족 인식이 가격을 지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도심 신규 택지 확보, 정비사업 지원, 민간 참여 확대 등 수급 안정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 위축이 이어질 경우 일부 지역의 가격 조정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대출 규제 효과와 공급 보완책의 균형이 향후 시장 흐름을 좌우할 전망이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