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최근 대미 담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핵화가 아닌 다른 의제에서 접촉 가능성을 시사한 북한의 메시지에 미국이 반응한 것으로, 북미 대화 재개 여지를 두는 기류로 읽힌다.
세스 베일리 미 국무부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대북특별부대표 겸임)은 7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연례 브리핑에서 “북한 지도부의 고위급 성명을 검토했고, 김여정의 최근 담화를 관심 있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 한국 정부가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고 대북 관여 의지를 보였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 모두 북한과의 외교·관여에 대한 헌신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김여정은 지난달 29일 담화에서 미국이 북한의 ‘불가역적 핵보유국 지위’와 달라진 지정학적 환경을 인정할 경우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보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비핵화를 전제로 한 협상에는 선을 그으면서도, 조건부 대화 가능성은 남긴 셈이다.
베일리는 이날 미군 유해 송환 문제를 거론하며 2018년 북미 정상 간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원칙을 계속 준수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시작부터 북한과의 협상을 통해 정책 목표(새로운 북미관계, 평화체제, 비핵화 노력, 유해 송환) 달성 의지를 분명히 했다”며 행정부가 관련 외교를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백악관도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핵 프로그램 종식을 위한 김정은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국무부는 각국과의 공조 속에 북한 문제에 대응하겠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베일리는 “유해 송환은 장기 과제이며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한국과 같은 목표를 공유하고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더포커스뉴스(thefocusnews.co.kr.co.kr) 더포커스뉴스의 모든 콘텐츠는 지적 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하는 행위는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